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연꽃 농사, 벼보다 낫네

입력 | 2009-07-21 02:57:00

관상용으로 여겨지던 연이 농가 소득 작목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3월 말에 종근을 심고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뿌리, 잎, 꽃, 연방 등을 수확한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 전남 무안 ‘蓮의 재발견’
생산비 절반이면 되죠… 소득은 40% 더 많죠…
茶-비누외에 맥주도 만들어
11개국과 64억원 수출계약
관광 넘어 산업자원 변신

20일 오후 전남 무안군 일로읍 복용마을. 드넓은 마을 앞 들녘이 온통 연꽃 천지다. 마치 초록 바탕의 도화지 위에 흰점을 찍어 놓은 것처럼 보였다. 수줍은 듯 살포시 피어 오른 하얀 꽃봉우리가 너울너울 흔들렸다. 장맛비가 그치자 연꽃을 따는 주민들의 손놀림이 분주했다. 복용마을 일대는 논보다 연꽃 밭이 더 많다. 연 농사가 수익성이 높아 주민들이 쌀 대체작목으로 연꽃을 심은 결과다. 주민 김정호 씨(56)는 “연을 재배하면서 소득이 크게 늘고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도 살리고 있다”며 “관상용으로 여겨지던 연이 농가에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자랑했다.

○연의 재발견

복용마을에서 300여 m 떨어진 곳에는 국내 최대 규모 백련(白蓮·흰색 연꽃) 서식지인 회산 백련지가 있다. 33만여 m²(약 10만 평)의 광대한 수면에 심어진 백련을 보려고 매년 20만 명이 다녀간다.

관광 명소가 있어서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연꽃 농사에 눈을 돌렸다. 4년 전 몇몇 농가가 관상용으로 추수가 끝난 논에 논두렁을 높이고 물을 가둬 백련을 심었는데 단위 면적당 소득이 벼농사보다 40%나 많아 연꽃 농사에 뛰어들었다. 복용마을 연꽃 재배 면적은 60만 m²(약 18만 평)로 2005년 11만8800m²(약 3만6000평)에서 무려 40.5% 늘었다.

농자재 값 등 생산비가 절반도 들지 않고 농한기에 수확하는 데다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다는 것도 연 농사의 이점이다. 연 뿌리는 반찬용뿐 아니라 진액, 음료, 식혜 등으로 가공 판매되고 꽃과 잎은 차 재료로 활용된다. 박삼균 무안군 백련개발담당은 “지난해 54개 농가가 6억4000만 원의 소득을 올렸다”며 “뿌리와 잎은 농협과 가공업체에서 수매하고 꽃과 씨는 소비자와 직거래하기 때문에 판로 걱정이 없다”고 말했다.

○연 가공식품 30여 종 생산

백련 재배가 늘면서 연 가공업체도 줄줄이 들어섰다. ㈜다연은 복용마을 인근에 연 가공공장을 짓고 백련잎차, 연화차 등 각종 차를 비롯해 비누, 식혜, 맥주 등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홍삼연잎음료를 출시한 한국인삼공사와 삼립식품에 연잎 분말을 공급하고 농심, 풀무원 등 업체와 납품 계약을 앞두고 있다.

김성두 ㈜다연 대표(47)는 “농가들로부터 연간 60여 t의 연잎을 사들여 가공하고 홍보관도 운영하고 있다”며 “다양한 연 가공식품이 개발되면 현재 400억 원대인 연 시장 규모가 2, 3년 안에 10배 이상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범우는 백련 라면과 백련 국수, 백련 생수제비 등을 생산하고 성지농산은 연 떡국, 연 냉면 등을 출시했다. 삼진식품㈜은 백련 김을, 청수식품㈜은 연근 구운소금, 연잎 미용염을 판매하고 있다. 이들 업체 외에도 백련 고추장, 연근 간장, 연 과자, 백련 빵 등 10여 개 업체가 30여 가지의 연 가공식품을 만들고 있다.

○연 산업화로 승부

무안군은 백련을 생산과 가공, 유통, 관광이 어우러진 복합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2005년부터 연 산업화에 나섰다. 기초 연구개발과 생산기반 구축, 공동브랜드 개발 등 사업을 통해 기틀을 다졌다.

10년 넘게 개최해온 ‘백련 축제’도 지난해부터 ‘대한민국 연 산업축제’로 바꿨다. 연 산업 주제관을 마련해 각종 가공식품을 선보이고 해외 바이어를 초청해 수출상담회를 열었다. 그 결과 ㈜범우 등 5개 업체가 독일 등 11개국 바이어와 510만 달러(약 64억 원)의 수출 계약을 했다.

백련탕 치료, 연 쿠키 만들기. 백련 천연염색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여 2007년보다 두 배가 많은 54만 명이 축제를 찾았다. 올해 축제는 8월 6일부터 9일까지 열린다. 서삼석 무안군수는 “‘백련’을 신 활력 사업으로 추진한 결과 성과가 하나씩 나타나고 있다”며 “축제를 산업화형으로 바꿔 수익형 축제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무안=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


▲유문식 동아닷컴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