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베일 벗는 ‘박연차 리스트’… 친노그룹-與 PK인사 ‘반반’

입력 | 2009-04-03 03:02:00


이른바 ‘박연차 리스트’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이 로비 대상으로 삼은 정치권 인사들의 윤곽도 상당 부분 드러나고 있다.

지금까지 검찰 안팎에서 거론된 정치인은 20여 명. 이 가운데 절반 정도가 노무현 정부 시절의 옛 여권 인사들이고 나머지 절반은 현 여권 인사들이다. 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박 회장은 옛 여권의 친노(親盧·친노무현) 그룹과 자신의 사업기반인 부산경남(PK) 지역 정치인들과 광범위하게 친분을 유지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먼저 ‘친노 386’의 대표 인사인 이광재 민주당 의원은 2004년 5월∼2006년 8월 박 회장에게서 7차례에 걸쳐 1억6000여만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다. 박 회장에게서 수만 달러를 받은 혐의로 검찰에서 두 차례 조사를 받은 서갑원 민주당 의원, 검찰이 소환을 검토하고 있는 김원기 전 국회의장 등도 친노 계열로 통한다. 친노 직계 의원 모임인 ‘신의정연구센터(의정연)’에서 고문으로 활동했던 김혁규 전 경남지사, 이 모임의 멤버였던 한병도 전 의원 등도 박 회장과의 직간접적인 ‘인연’으로 리스트에 이름이 올랐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사법시험 공부를 함께 했던 인연이 있는 박정규 전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과 정상문 전 대통령총무수석비서관은 모두 ‘박연차 리스트’의 덫에 걸린 상태다. 박 전 수석은 2일 구속 기소됐고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안살림을 도맡아 했던 정 전 비서관은 조만간 검찰에 나와 조사를 받아야 할 처지다. 노 전 대통령의 측근 인사들 중에서는 이제 수사할 만한 대상이 없을 정도로 대부분이 검찰의 수사망에 걸려들었다.

현 여권 인사들 가운데 이름이 오르내리는 정치인은 PK지역 인사가 많다. 한나라당의 허태열 김학송 김무성 권경석 의원, 박관용 전 국회의장 등이 모두 PK 출신이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박 회장에게서 불법 자금을 받은 일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이 가운데 김무성 권경석 의원은 선거관리위원회의 후원금 내용을 조사한 결과 혐의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지역 정치인 가운데 송은복 전 경남 김해시장은 지난해 4월 총선 때 박 회장에게서 5억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 기소된 상태다.

이상록 기자 myzod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