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1000억 위안…中선저우 7호 발사 성공 경제적 효과

입력 | 2008-09-27 03:00:00


우주개발 투자대비 5, 6배 효과 예상

중국의 유인 우주선 선저우(神舟) 7호 발사 성공의 경제적 효과가 최소 1000억 위안(약 17조 원)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고 신화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이 통신에 따르면 베이징우주항공대 경제관리학원 한리옌(韓立巖) 교수는 “중국이 우주 개발 계획을 추진한 이래 매년 평균 수백억 위안을 투입해 5, 6배의 효과를 내고 있다”며 “선저우 7호는 1000억 위안의 연관효과를 유발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한 교수는 과거 선저우 5, 6호 발사 이후 유발된 경제효과도 1200억 위안에 이른다고 말했다.

우주항공 산업의 연쇄적 경제효과가 큰 것은 한 척의 우주선을 성공적으로 쏘아 올리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최첨단 기술이 동원되기 때문이다.

즉, 에너지 철강 신소재 전자 기계 통신 등의 산업은 물론 우주복, 우주식품, 귀환 우주선 낙하산 방직, 농산품(우주선 내 종자 실험), 식품가공 등 일상생활 용품까지 관련 분야가 다양하다.

선저우 7호는 3인의 우주복 제작에만 1억6000만 위안(우주선 밖으로 나가는 특수 우주복에만 3000만 위안)이 들 정도로 많은 투자액과 첨단기술이 투입됐다.

한 교수는 다만 중국은 아직 우주항공 기술이나 우주항공 기술을 상업화하는 수준이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낮은 ‘초보 단계’라고 말했다.

우주연구 선진국인 미국과 유럽에서도 우주개발 과정에서 투입 대비 경제효과는 8∼14배로 추산한다고 신화통신은 전했다. 일례로 미국이 240억 달러를 들여 추진한 아폴로 달 착륙 계획은 그 과학적 성과가 민간용으로 전환된 후 경제효과가 2000억 달러가 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우주 관련 업계에서는 세계의 우주항공 기술로 인한 산업 이윤이 1996년 750억 달러에서 2000년 1250억 달러로, 2010년 5000억∼600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선저우 7호는 25일 오후 9시 10분 성공적으로 발사돼 고도 343km의 정상궤도에서 90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씩 돌고 있다. 우주인 한 명은 27일 오후 생중계로 지켜보는 가운데 우주유영과 실험을 시도한다.

베이징=구자룡 특파원

bonh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