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온난화 모드’로 바꿔야 할 사회·경제 시스템

입력 | 2008-04-09 02:58:00


제주 서귀포시의 대표적 관광지인 용머리 해안이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조금씩 물에 잠기고 있다고 한다. 하루 8시간 이상 침수돼 관광객도 줄고 있다는 것이다.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제주 연안의 연평균(1960∼2006년) 해수면 상승폭은 5.6mm로 지난 40여 년간 22cm 상승했다. 특히 1993년 이후의 상승폭은 연평균 6.4mm로 세계 평균(3.1mm)의 두 배가 넘는다. 온난화 파고가 한반도에 두 배의 속도로 몰려오는 형국이다.

해수면 상승의 직접적 이유는 바닷물 온도가 오르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1995∼2004년 10년 동안 우리나라 연근해 해수온도는 남해가 0.97도 오르는 등 평균 0.67도 상승했다. 해수온도와 해수면 상승은 생물종의 멸종과 서식지 이동, 먹이사슬 파괴 등 생태계 전반을 교란시킨다. 영화 ‘니모를 찾아서’의 주인공 흰동가리는 아열대 어종이지만 지금은 제주 해역에서 잡힌다. 수온 상승 탓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금보다 기온이 1.5∼2.5도 상승하면 세계 동식물의 20∼30%가 멸종 위기에 처하고 저(低)위도 건조지역의 온도가 1∼2도만 올라도 농작물 생산량이 급감한다고 경고했다. 한반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 국토해양부는 2040년이면 해수면이 22cm 상승해 24.57km²의 국토가 침수된다고 예측했다. 잦은 기상재해, 개화(開花)시기의 변화, 어종 및 곤충의 변화, 농작물 재배한계선 북상은 한반도가 온난화의 직접영향권에 들어갔음을 보여준다.

온난화는 이미 막을 수 없는 단계에 왔기 때문에 각국은 온실가스 줄이기 등 온난화 감속(減速)노력과 함께 온난해진 세상에 적응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달 펴낸 기후보고서에서 홍수 가뭄 산불 산사태 등의 기후재앙으로부터 발전소와 운송시스템, 농업을 보호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온난화에 적응하도록 사회 및 경제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기상예보만 정확해도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생태계 대기 보건 산림 해양 등 분야별로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마스터플랜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