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理知논술/이슈&이슈]유권자의 선택

입력 | 2007-12-03 03:03:00


허풍과 비전 사이

인간이 신이 아닌 한, 죄를 짓지 않고 사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인류에겐 죄를 규정하거나 벌하는 수많은 개념이 있어 왔다.

과거 중국에는 ‘묵형(墨刑)’이란 게 있었다. 죄인의 얼굴에 먹물을 들이는 가혹한 형벌이다. 얼굴에 한번 새겨진 먹물은 평생 지워지지 않았다. 죽을 때까지 죄인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아야 하는 셈이다. 묵형이란 단어 속에는 ‘사람은 결코 변하지 않으므로 그 사람이 지은 죄도 씻길 수 없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한편 ‘업보(業報)’라는 개념도 있다. 업보는 포인트 점수 쌓기와 비슷하다. 좋은 일을 하면 점수가 누적되고, 나쁜 일을 하면 점수가 깎인다. 누군가에게 해를 끼쳤다면 가슴만 치고 있으면 안 된다. 올곧은 일을 많이 해서 맺힌 업을 풀어주어야 한다. 결국 업보란 ‘누구나 마땅한 죗값을 치르고 반성하면 새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생각을 밑바닥에 깔고 있다.

지금의 대통령 선거판을 살펴보자. 우리는 어떤 방법으로 대통령감을 고르는가? 정책선거는 실종된 채 인기투표로 성격이 변질되어가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 대선 후보 캠프는 상대 후보를 비난하는 네거티브(negative) 전략을 세우느라 바쁘다.

근거 없는 비방은 당연히 선거판에서 사라져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어떤 후보가 ‘죄’를 지었을 때 발생한다. 유권자들은 어떤 판단을 해야 할까. ‘결코 회복될 수 없는 잘못’이라면, 유권자들은 마음속으로 후보에게 ‘묵형’을 내릴 것이다. 반면 ‘용서받을 수 있는 잘못’이라면 그가 거듭나 ‘포인트 점수’를 쌓을 기회를 줄 수도 있다.

진지하게 따져야 할 대목은 후보가 내세우는 미래다. 지도자의 미래 비전은 나라의 운명을 바꾼다. 그러나 후보의 과거도 미래 못지않게 중요하다. 우리가 역사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는 지혜를 얻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후보의 과거를 보면 그의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허풍과 비전을 가리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비전은 자기 충족적(self-fulfillment) 예언과 비슷하다. 스스로 될 수 있다고 믿기에 자기가 그렇게 바뀐다는 뜻이다. 반면 허풍은 사람들의 절실한 소망에 잔뜩 바람을 불어넣어 판단을 흐려 놓는다. 예컨대 “부자가 되고 싶다”와 “부자가 될 수 있다”는 다르다.

그렇다면 후보 가운데 허풍쟁이는 누구일까?

안광복 중동고 철학교사·철학박사 timas@joongdong.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