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후보등록 D-2… 신당 “아! 합당이여”

입력 | 2007-11-23 03:07:00

대통합민주신당 오충일 대표(가운데)와 손학규(왼쪽) 이해찬 공동선대위원장이 22일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당사에서 열린 선대위원장단 회의에서 민주당과의 통합 협상 문제를 논의하기에 앞서 침통한 표정을 짓고 있다. 김동주 기자


▼불씨 꺼져가고▼

후보등록前 민주와 통합 물건너가

단일화없이 각자 등록 확률 높아져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통합이 사실상 대통령 후보 등록(25, 26일) 이전에는 불가능해졌다.

대통합민주신당은 22일 새벽까지 민주당 박상천 대표 및 이인제 대선 후보와 접촉하려 했지만 무위에 그쳤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선 후보도 후보 등록을 한다는 태도여서 범여권 후보들은 단일화 없이 각자 후보 등록을 할 확률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범여권에서는 후보 등록 이후 세 후보의 후보 단일화 가능성 및 방식을 놓고 각종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다.

▼說說 들끓는데▼

‘후보등록 후 합당한 뒤 文과 단일화’

‘鄭-文-權정책연합’등 시나리오 무성

▽후보 등록 후 단일화 시나리오=첫째,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합당한 뒤 문 후보와 후보 단일화를 이루는 것. 그러나 양당이 통합 협상 결렬의 주요인이었던 지분 문제를 선거운동 기간에 해결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둘째, 정 후보와 이 후보가 후보 단일화는 하되 양당 통합은 대선 이후로 미루는 것. 양당은 선거연합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단일화를 통해 후보가 되지 못한 쪽은 투표 대상이 아니어서 선거 뒤 정부로부터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기회가 사라진다. 투표용지에 이미 모든 후보의 이름이 기재되고, 28일 지급받을 선거보조금을 후보가 되지 못한 쪽에서 단일화 후보를 위해 쓸 수 없는 등 단일화 효과도 반감될 수 있다. 셋째, 정 후보, 문 후보, 그리고 범여권은 아니지만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가 정책연합을 하는 경우. 이달 초 정 후보가 두 후보에게 제의한 ‘반부패미래세력연대’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집권 시에는 권력 분점을 통한 연합정부 수립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 시나리오는 정 후보와 민주당 및 이 후보와의 통합과 후보 단일화를 전제로 한다는 난점이 있다. 넷째,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창조한국당 세 후보 모두 대선을 완주하는 것. 문 후보 측 내부에서도 독자적으로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소수 의견’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단일화 제안을 받지 않는 쪽이 대선과 내년 총선 패배 및 범여권 분열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찬물 끼얹기?▼

▽멀어진 신당과 민주당 통합=대통합민주신당은 이날 오후 민주당과의 통합 및 후보 단일화에 대한 최종 결정을 위해 최고위원회를 열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이낙연 당 대변인은 “오늘 하루 더 노력한 뒤 결정할 일이 있다면 23일 오전 9시 고문단·선대위원장단 연석회의 및 최고위원회의에서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정 후보는 “하루만 더 노력해 달라”고 호소했다고 이 대변인은 전했다. 그러나 대통합민주신당의 분위기는 ‘민주당과의 통합은 물 건너갔다’였다.

이날 오전 선대위원장단 회의에서 이해찬 공동선대위원장은 “민주당과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박상천 대표가 당 대표가 되는 게 전국적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겠느냐”며 통합에 찬물을 끼얹는 발언을 했다. 손학규 공동선대위원장도 “좀 더 떳떳하고 당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 후보와 문 후보와의 TV 토론 협상도 난항을 겪었다. 양측은 후보 단일화 논의를 포함해 △1 대 1 자유토론 △스탠딩 방식 △양측의 핵심 정책 2가지 등 TV 토론의 세부 사안에 대해 의견 접근을 이뤘다. 그러나 문 후보 측이 “TV 토론 주제를 정 후보 사퇴 및 참여정부 실정으로 하자”고 제안하자 정 후보 측은 “후보 사퇴를 토론 주제로 하자는 건 하지 말자는 것과 같은 얘기”라며 난색을 표했다.

민동용 기자 mindy@donga.com

길진균 기자 leon@donga.com


▲ 동영상 촬영 : 동아일보 사진부 김동주기자


▲ 동영상 촬영 : 동아일보 사진부 김동주기자


▲ 동영상 촬영 : 동아일보 사진부 김동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