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과학세상/양병태]e-사이언스 세상

입력 | 2007-04-02 03:00:00


영화 속의 픽션은 때론 상상의 미래를 현실처럼 보여 준다. 전적으로 허구인 내용이 있지만 충분한 과학적 근거와 가능성을 가진 픽션 속의 논픽션도 많다. 과학기술계에 30년 가까이 종사하다 보니 영화를 볼 때마다 숨은 그림 찾기를 하듯 여러 에피소드 속에서 실현 가능한 논픽션을 찾아내는 일이 습관이 됐다.

대표적인 예가 재난영화 ‘투모로우(The Day After Tomorrow)’다. 빙하 녹은 물이 난류의 흐름을 깨 결국 빙하기가 찾아온다는 내용이다. 시시각각 다가오는 재앙으로부터 지구를 구하기 위해 주인공인 잭 홀 교수가 필사적으로 집착한 작업은 사이버상에서 미국 전역의 슈퍼컴퓨팅 자원을 모아 빙하기의 진행을 예측하는 일이었다.

영화 속 상황은 실현 가능할까. 영화에서처럼 대규모는 아니지만 실제로 이런 일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된다. 미국 과학재단(NSF)의 지원을 받아 NCSA, SDSC, Argonne, Caltech 등 대형 슈퍼컴퓨팅센터의 자원을 묶어 세계에서 가장 크고 빠른 계산 인프라를 제공하는 테라그리드(TeraGrid)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의 과학자들이 시공을 초월해 사이버상에서 공동연구를 한다.

사이버상에서 자유롭게 첨단 장비, 대용량 데이터, 연구 인력을 주고받으며 연구하는 환경을 ‘e-사이언스’라고 한다. 연구자는 첨단 네트워킹을 통해 전 세계 대학 및 연구소에 분산된 첨단 장비와 대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런 환경이 구축되면 전에는 시도하기 힘들었던 천문우주, 지구환경과 관련된 범지구적인 연구개발이 가능하고, 생명공학 나노 항공우주 등 여러 분야가 융합된 연구를 쉽게 할 수 있다.

e-사이언스 연구 환경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쏟아 붓는 노력은 대단하다. e-사이언스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영국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 5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미국 과학재단은 e-사이언스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테라그리드, 글로벌 람다 가시화 장비(GLVF) 등 세계 최고 수준의 협업 환경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범유럽 규모로 추진하는 ‘EGEE’와 일본의 ‘NAREGI’ 프로젝트에서 보듯이 e-사이언스는 국가가 집중 지원하는 중요 과학기술 분야다.

e-사이언스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국가의 미래 먹을거리 창출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가능성’이기 때문이다. 국내에 e-사이언스 연구 환경이 성공적으로 정착되면 한 해 수천억 원의 연구개발 비용을 절약하고 연구 성과의 수준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다. 신약 개발의 경우 최대 100분의 1까지 연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노력 대비 성과를 수십 배 끌어올릴 수 있는 꿈의 연구 환경이 바로 e-사이언스이다.

글로벌 기술개발 시장은 분초를 다투며 변화한다. 누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좋은 기술을 개발했는가가 한 나라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국가 경쟁력이 과학기술 수준에 의해 좌우되는 과학기술 중심사회에서는 당연한 결과다. 결론적으로 말해 어떤 나라가 더 뛰어난 e-사이언스 인프라를 구축하는가에 따라 국민의 삶의 질은 물론 나라의 미래까지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것이 세계 각국이 e-사이언스 연구 환경 개발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다.

한국도 과학기술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e-사이언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조만간 국내 연구실에서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병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