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고교생이 통합교과형 논술문제에 고개를 가로젓습니다. “난데없이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와 도표의 의미를 선뜻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지요. 정답은 역시 교과서 안에 있습니다. 경희여고 윤상철 선생님이 오늘부터 ‘교과서 통계 제대로 읽기’를 매주 연재합니다. 교과서 속 통계의 숨은 의미를 꿰뚫어 이를 통합교과적으로 해석하는 노하우를 알려 드립니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화 시대가 지나가고 정보화 사회가 등장했다는 사실을 설명하는 근거로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는 것이 ‘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자 수의 변화 추이표’이다. 은 고교 1학년 사회(법문사) 10단원 ‘사회변동과 미래사회’에 등장하는 표를 2006년 기준으로 업데이트한 것이다.
인터넷 이용자 수가 늘고 인터넷 이용률이 높아진다는 표의 내용은 우리에게 정보화 사회의 장밋빛 미래를 약속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정말 그러할까? 우리는 이러한 통계수치 이면에 감춰진 소외계층이 있다는 사실을 간파해야 한다.
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보고서에 나온 표다. 이 자료에 의하면 2004년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률은 34.8% 정도로, 전체 국민 평균이용률의 절반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월 가구소득 100만 원 이하 계층의 인터넷 이용률은 30.3%로 400만 원 이상의 계층과 52.7%포인트의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50대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20% 미만이어서 7∼19세 젊은 계층과 무려 79.3%포인트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장애우, 노년층, 저학력, 저소득 생산직 종사자 등이 정보사회에서 소외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 준다. 사회계층별 정보격차가 심각한 수준이며 국민의 상당수(약 30%)가 디지털 정보기술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소위 ‘디지털 배제(digital exclusion)’ 상태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브라운대학이 2006년 8월 발표한 ‘2006년도 세계 전자정부 평가’에서 189개국 중 1위(2005년에는 86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나라에서 디지털 배제를 당한 계층은 디지털로 제공되는 사회적 서비스의 혜택을 누리지 못한다.
또 디지털로 진행되는 사회·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에도 참여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시민으로서의 참정권을 제대로 행사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사회·경제적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이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양극화 경향은 ‘정보화’라는 새로운 개념을 기준으로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양극화는 중산층의 위기를 불러와 사회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윤상철 경희여고 철학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