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與 신당파-친노그룹, '탈당' 계기로 갈라지나

입력 | 2006-11-29 17:58:00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 시사'' 발언을 계기로 열린우리당 내에서 정계개편 논란이 재연되고 있는 가운데 통합신당 추진파와 친노(親盧) 그룹 양쪽에서 "합리적 결별을 모색해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다.

친노 그룹 일부 의원들은 "노 대통령이 탈당해도 우리는 남아서 열린우리당의 깃발을 지키겠다"면서 통합신당을 주장하는 쪽이 탈당해 일단 결별한 뒤 추후 정치적 상황에 따라 연대 등의 방식을 모색하자는 주장을 폈고, 통합신당파 일부 의원들도 "정책과 이념적 차이가 분명한 사람들은 갈라설 수 있는 게 아니냐"며 결별론을 제기했다.

친노 개혁그룹 참여정치실천연대 대표인 김형주 의원은 2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서로 비방할 게 아니라, 필요하다면 결별을 하더라도 서로 만족도가 높은 분화과정을 모색해야 한다"며 "억지로 같은 당에 앉아서 서로 총질하는 것보다는 원만한 냉각기를 갖거나 합리적 동의에 의한 결별이 훨씬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친노 그룹이 먼저 탈당을 결행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탈당할 경우 친노그룹 일부가 부분적인 압박감을 받을 수는 있지만, 나는 탈당해서는 안되고 탈당을 언급해서도 안 된다고 본다"면서 "친노 그룹이든 뭐든 열린우리당의 창당정신을 같이 하는 사람들은 당이 망해도 이 당에 남아야 하고,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친노그룹인 의정연구센터 소속 이화영 의원도 친노 그룹 선도 탈당설에 대해 "우리는 열린우리당의 창당 이념과 정신을 높이 평가하고 지켜가려는 정치세력"이라며 "탈당할 리 없다"고 못박았다.

반면 통합신당파로 분류되는 양형일 의원은 "현 상태대로 열린우리당 의원 139명이 다 같이 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렇게 가서도 안 된다는 공감대가 있다"며 "정책적 이념적 차이가 분명했던 분들은 갈라설 수 있는 것 아니냐"며 결별 불가피론을 폈다.

양 의원은 "대통령 발언으로 정계개편이 상당히 빨리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면서 "친노 직계 의원들이 먼저 당을 뛰쳐나가거나 할 것 같지는 않고, 고건 전 총리 중심의 정치결집 등 외부변수가 있다면 우리당내에서 정계개편의 주도적 역할을 자임하면서 이탈하는 게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지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