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노 대통령 발언 파문속 예정대로 목포行

입력 | 2006-11-29 11:51:00


노무현 대통령이 29일 호남의 상징이자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향인 목포를 찾았다.

오래전 잡힌 지방 방문 일정을 예정대로 진행한 것이었지만 하루 전 당적 포기 및 임기 단축을 시사한 발언으로 정국이 요동치고 있는 상황과 맞물리면서 노 대통령의 발걸음에 눈길이 쏠렸다.

노 대통령이 목포를 찾은 것은 2004년 7월 광주·전남지역 혁신발전토론회 참석 이후 2년4개월만이다. 호남행은 7일 제3회 지역혁신박람회 개막식 참석차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를 방문한 이후 22일만이다.

목포가 갖는 상징적 의미와 함께 노 대통령 손에 두툼한 선물보따리가 들려있는 점도 정치적 해석을 낳기에 충분했다.

노 대통령은 닷새 전 청와대에서 직접 회의를 주재, 2020년까지 22조원을 투입해 전남 무안·목포·신안을 초일류 산업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내용의 '서남권 종합발전 구상'을 확정했다.

이 회의에선 당초 구상에 없던 J 프로젝트가 "서남권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 중 하나"라는 노 대통령의 특별 지시에 따라 개발대상 지역으로 전격 추가됐다. J 프로젝트는 전남 해남·영암을 관광레저도시로 개발하는 호남의 숙원사업 중 하나다.

이에 내년 대선을 겨냥한 선거용이란 지적이 나오자 민주당 당적인 박준영 전남지사가 28일 "노 대통령의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철학은 확고하며, 역사적으로 평가받을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민심이 달궈진 상황이다.

때문에 '전효숙 파동'에 여당의 '치받기'로 극도로 위축된 노 대통령이 이번 호남 순시를 통해 정치적 위안을 받고 자신감을 되찾지 않겠느냐 관측도 나왔다. 호남은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탄생시킨 요람이란 점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노 대통령의 이날 하루 일정도 '목포'로 채워졌다.

노 대통령은 무용론에 시달렸던 무안국제공항 관제탑에 올라 서남권 발전 구상에 관한 현장보고를 받는 데 이어 학계, 시민단체, 언론계 등 지역인사들을 대거 초청해 오찬을 함께 한다.

오후에는 인근 대학에서 관계 장관과 대학 총·학장 60명 등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보고회도 주재한다.

이날 행사에는 특히 호남 출신 이병완 비서실장과 전해철 민정수석이 수행해 눈길을 끌었다. 두 사람은 당·청 소통 문제와 전효숙 파동을 이유로 여당에서 인책론이 제기된 상태다.

특히 전 수석은 '대통령 지방 행사에는 그 지역 출신 비서관이 참석한다'는 관례를 깨고 7일 대통령의 광주행사에는 불참했지만 이날은 고향인 목포로 내려갔다.

이를 두고 청와대 안팎에선 노 대통령이 참모들을 계속 안고 가겠다는 무언의 메시지가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청와대 비서진 인책을 거론하기 시작한 여당의 흐름과는 대비된다.

디지털뉴스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