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고조에서 자손까지 '한국의 5대가족' …26가족 한자리에

입력 | 2006-11-19 17:15:00


고조부, 증조부, 조부, 부모, 자녀 등 5대(代)로 구성된 26가족이 1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 모였다. 이들은 대한의사협회와 다국적 제약회사 한국 노바티스가 저출산 고령화시대를 맞아 주최한 '행복한 5대 장수가족 찾기' 행사에서 발굴된 가족이다. 5대 가족의 비결은 균형 잡힌 식사와 가족간 활발한 교류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자가 오래 산다=1대 26명은 모두 여성으로 평균 연령은 94.3세였다. 여성 평균 수명(81.5세)보다 12.8세나 많다. 2대 26명은 남녀가 반반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3.5세였다.

1, 2대가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은 전북(9명, 17%)이었으며 이어 전남(광주 포함·8명·15%), 경기(인천포함·8명·15%) 등의 순이었다. 3, 4, 5대가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은 서울(29명·37%)이었다.

5대 직계가족이 여성으로만 구성된 가족은 6가족으로, 이중 천부전(96·경기 남양주시) 할머니의 5대 가족은 장녀로만 이뤄졌다. ▶본보 16일자 A10면 참조

▶‘행복한 울타리’ 맏딸 5대

1대 가운데 최고령인 김성희(충남 공주) 할머니는 102세로 고손자(생후 2개월)와 나이 차이가 1세기가 넘었다. 89세인 김귀분(강원 영월) 할머니는 고손자(8세)와 나이차가 81세로 26가족 가운데 가장 적었다. 유주손(89·경남 거창) 할머니는 직계 후손만 144명이나 됐다. 최소 가족은 10명, 평균 가족 수는 58명이었다.

▽건강 비결=1대는 모두 암이나 고혈압, 당뇨병 등 질병이 없었으며 54%는 거동이 자유롭다. 1대의 53%, 2대의 57%가 틀니를 끼지 않을 정도로 이가 튼튼한 편이었다.

1, 2대에게 장수비결을 설문조사한 결과(복수응답) 균형 잡힌 식사(17가족·65%)와 규칙적인 생활(17가족)이 우선으로 꼽혔다. 이어 낙천적인 성격(12가족·46%), 집안 내력(10가족·38%), 화목한 가정 분위기(10가족), 적당한 운동(10가족)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술과 담배를 멀리하고 첫 아이를 일찍 낳았다.

전체 가족의 42%가 1년에 5번 이상 모인다고 대답할 정도로 화목했다. 이 가운데 홍옥순(87·충남 서산) 할머니 네는 1년에 가족모임이 60회나 됐다. 주최 측이 네티즌 6900여명을 대상으로 1년에 조부모를 만나는 횟수를 조사한 결과 77%가 '1년에 5번미만'이라고 응답한 것과 좋은 대조를 이뤘다.

이들 가족은 100만 원 상당의 순금메달과 기념패, 가족사진을 선물로 받았다. 이들 가운데 '뿌리 깊은 5대 가족상' '사이좋은 5대 가족상' '튼튼한 5대 가족상' 등 6개 부문 특별상 수상가족은 별도로 200만 원 상당의 관광 상품권까지 받았다.

하임숙기자 arteme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