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학교 급식 중단 장기화 우려

입력 | 2006-06-25 15:42:00


식중독 사고에 따른 사상 최악의 급식 대란 사태가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교육 및 보건당국에 따르면 학교 급식이 정상화되려면 새학기인 2학기나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급식업체를 새로 선정하려면 학생들의 식중독 감염 여부가 확인돼야하고 기존 업체의 해지와 새 업체와의 계약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16~23일 급식사고가 발생했던 학교들이 급식업체인 CJ푸드시스템측과 위탁 급식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업체를 선정하려면 우선 해당 학생들의 식중독 감염 여부가 확인돼야 한다.

이들 학생에 대한 역학조사 최종 결과가 3~4주 후에야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당 학교와 CJ푸드시스템측간의 계약 해지여부는 빨라야 다음달 18일, 늦으면 다음달 28일경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 때쯤이 되면 학교의 여름방학기간이 시작되기 때문에 새학기인 2학기나 돼야 급식사고가 일어난 학교의 급식이 정상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교육당국 관계자는 "CJ푸드시스템의 잘못이 드러나면 위탁 급식 계약은 자동적으로 해지된다"며 "급식업체의 잘못이 드러나지 않을 경우 CJ푸드시스템에서 계속 학교급식을 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역시 학부모와 시민단체의 반대 때문에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킨 이 업체가 계속 급식을 한다고 하면 학부모들의 큰 반발을 사게 될 것"이라며 "따라서 학교급식사고가 일어난 학교의 경우 상당수가 다른 급식업체를 선정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해당 학교들이 계약 해지 후 다른 급식업체를 선정하려면 2~3주의 기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학교측이 급식 업체 선정공고를 내야 하고 학교운영위에서 업체선정을 위한 심의 및 협의를 해야 한다.

결국 급식 중단 사태가 벌어진 학교의 학생들은 여름방학 시작전까지는 정상적인 급식을 받지 못하고 도시락 등으로 식사를 해결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22일부터 급식이 중단된 학교에서는 도시락을 준비하지 못한 일부 학생들이 점심을 거르기도 했으며 대부분 학생들은 도시락이나 빵, 우유, 김밥 등 간편식으로 식사를 했다.

현재 급식 사고가 일어난 학교는 전국적으로 모두 27곳이고 설사와 복통, 구토 등을 호소한 학생은 1700여명으로 집계됐다.

한편 급식사고 환자가 발생한 학교 가운데 일부는 환자 학생들의 학사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말고사나 여름방학을 연기하는 등 학사일정을 조정했거나 또 일부는 변경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교육청은 급식중지명령을 내린 전체 학교에 대해 중식지원대상 학생에게1인당 3000원 규모의 인근 식당 식권이나 상품권을 지급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문을 학교에 보냈다.

성하운기자 haw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