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란, 미국에 관계개선 손짓할까…美와 수교 추진 시사

입력 | 2005-06-16 03:25:00


17일 이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선두주자인 악바르 하셰미 라프산자니 후보에게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체 인구의 65%에 이르는 이슬람 혁명 이후 세대의 개혁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핵개발 의혹을 둘러싼 미국과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후보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미 1988년 이슬람 혁명지도자인 루홀라 알 무사비 호메이니를 설득해 이란-이라크전쟁을 종식시켰으며 대통령 재임 시절에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 추진한 바 있다.

또 미 정부의 대이란 제재조치로 결국 무산됐지만 빌 클린턴 대통령 시절 미 석유회사와 이란 역사상 최대의 석유산업 합작투자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라프산자니 후보는 14일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이 대미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 적기”라고 밝혔다. 비록 ‘미국이 적대행위를 그만두고 이란과 협력하기를 원한다면’이라는 전제조건을 달았지만 26년 전 단절된 미국과의 수교도 추진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국으로서도 아랍권의 반미주의 확산을 막고 이란과 이라크의 밀착을 차단하려면 온건 보수파인 라프산자니 후보만 한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물론 라프산자니 후보가 넘어야 할 산도 적지 않다. 우선 최고지도자로 이란을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알리 하메네이 씨를 중심으로 한 보수파를 설득해야 한다. 모하마드 하타미 현 대통령도 미국과의 대화를 재개하려 했지만 하메네이 씨의 반대로 좌절된 바 있다.

개혁 성향의 무스타파 모인 후보의 선전도 변수다. 최근 이란 언론의 대선 주자 지지율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28.2%였던 라프산자니 후보는 27.1%로 약간 떨어진 반면 4.1%에 불과했던 모인 후보는 18.8%로 지지율이 급상승했다. 젊은층이 투표에 대거 참가한다면 이변도 가능하다.


이호갑 기자 gd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