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역사]역사속 을유년엔 어떤 일이…

입력 | 2005-01-02 17:48:00


역사적으로 을유년(乙酉年)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을유년은 1945년 8월 15일의 기쁨으로 ‘광복의 해’로 알려진 만큼 반가운 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그리 반가운 해만은 아니었다. 큰 변란은 적었으나 권력투쟁으로 얼룩진 해가 많았기 때문이다.

1945년은 광복의 해이지만 그 후 해방정국에서 극렬하게 벌어진 좌우 이념대립의 원년이기도 했다. 이해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안을 둘러싼 찬반 투쟁이 벌어지던 중 12월 30일 국내 민족주의 진영의 거두였던 고하 송진우가 암살됐고, 이는 이후 적색테러와 백색테러의 전주곡이 됐다.

1705년에는 숙종이 왕세자(훗날의 경종)에게 왕위를 양위하겠다고 발표했다가 번복한 ‘을유년 등록(謄錄·기록)’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이후 노론과 소론 연립정권에 균열을 낳았다. 경종은 장희빈의 소생이었기 때문에 그가 왕위에 오르면 제2의 연산군이 될 것을 두려워한 노론과 그를 동정하던 소론 간에 격렬한 정치투쟁이 전개됐다. 이 사건은 훗날 경종이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등극한 영조가 사도세자에게 양위의 뜻을 밝힌 뒤 ‘을유년의 등록을 상고하라(상세히 검토하라)’는 전교를 내리면서 또 다른 권력투쟁의 씨앗이 됐다.

1645년에는 더 끔찍한 일이 벌어졌다. 병자호란으로 청에 끌려갔던 소현세자가 7년 만에 귀국했다가 70일 만에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소현세자는 청에 머무르는 동안 선교사 아담 샬을 사귀며 서양의 신문물에 눈 뜨면서 청과 가까워졌다. 그의 아버지 인조는 이런 아들에게 자신의 왕위를 빼앗길지 모른다는 생각에 아들의 면전에 청나라 순치제가 선물한 벼루를 집어던지며 냉대했다. 결국 소현세자는 인조의 어의가 놓은 침을 맞고 4일 만에 숨을 거뒀다고 한다.

이 밖에 1885년 최초의 서양식 종합병원 광혜원(廣惠院)이 설립됐고, 같은 해에 입국한 선교사 아펜젤러에 의해 서양식 교육기관 배재학당이 설립됐다.

을유년 주요사건연도사건1945년8·15 광복, 고하 송진우 피살1885년광혜원(廣惠院) 설립, 배재학당 건립, 한국 최초의 개신교회인 소래교회 건립1765년 홍계희 등 ‘해동악장’ 편찬, 홍대용 ‘연행록’ 편찬 1705년숙종, 왕세자에게 선위한다고 했다가 번복한 을유년 등록 사건1645년소현세자의 귀국과 죽음1285년일연 ‘삼국유사’ 완성1225년몽골 사신 저고여 귀국 중 피살돼 몽골 고려관계 악화 685년신라 9주 5소경 설치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