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고영구 국정원장 25일 임명]"개혁 못미뤄" vs "오만 드러내"

입력 | 2003-04-24 18:48:00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국회의 ‘부적절’ 의견에도 불구하고 고영구(高泳耉)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를 임명키로 한 것은 ‘국정원 개혁’이라는 대명제를 포기할 수 없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록 청와대가 국회의 의견을 무시하는 모양이 되고 말았지만, 국민 여론은 국정원의 개혁을 기대하고 있는 만큼 야당측과 다소 마찰을 빚더라도 충분히 정면돌파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 국정원장 내정자 취소 될까

이 때문에 24일 오전 수석비서관 및 보좌관 회의에서는 별 이견없이 ‘고 후보자로 그대로 간다’는 방침이 정해졌다. 이어 오후에 문희상(文喜相)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1시간반가량 열린 인사위원회에서는 고 후보자의 거취 문제보다는 1, 2, 3차장과 기조실장 등 후속인선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등 속전속결로 이번 사태를 해결하겠다는 분위기가 대세를 이뤘다는 후문이다.

문재인(文在寅)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은 인사위원회 회의가 끝난 뒤 “국회에서 고 후보자의 전문성을 문제 삼았지만, 국민 대다수가 바라는 국정원 개혁이라는 측면에서는 재야 인권변호사 경력을 가진 고 후보자야말로 적임자이자 전문가”라고 못박았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청와대의 고 후보자 임명 강행 방침은 ‘국회 경시’의 오만함을 드러낸 것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박희태(朴熺太) 대표권한대행은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노 대통령은 국민의 뜻을 따라야 하며 국회 결정에 불복한다는 생각을 해선 안 된다”며 고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거듭 촉구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무작정 강경 대치의 가속페달을 밟지는 않겠다는 분위기다. 강경일변도로 나가기보다는 여권 내 자중지란을 지켜보는 것도 득책(得策)이란 판단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핵심당직자는 “민주당 구주류측이 고 후보자와 기조실장 내정자로 알려진 서동만(徐東晩) 상지대 교수에 대한 거부권 행사에 손을 든 배경엔 국정원 내 호남 인맥의 구명(救命) 로비가 한몫했다는 관측도 있다”며 “당분간 계속될 여권의 내홍을 지켜보며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

정연욱기자 jyw11@donga.com


function command_open(window_name,news_id,news_title,opinion_no) { var open_url ="/news/newsbbs/news_command/"+window_name+".php?news_id="+news_id+"&history_url="+location.href+"&news_title="+news_title+"&opinion_no="+opinion_no; window.open(open_url,"",'width=560,height=540,marginwidth=0,toolbar=0,location=0,directories=0,status=0,scrollbars=1,menubar=0,resizabl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