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스 전세계 공포확산]東아시아 경제 연쇄타격

입력 | 2003-04-06 19:12:00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의 확산으로 동아시아 각국의 경제가 연쇄타격을 받아 올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6일 분석했다.

이라크전쟁으로 대미(對美) 수출이 줄어 고전하던 와중에 사스 공포까지 겹치면서 동아시아 경제는 97년 말 통화위기 이후 가장 심각한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 홍콩을 거점으로 하는 캐세이패시픽항공이 4월 중순부터 5월 말까지 아시아 역내의 8개 노선을 감편키로 하는 등 항공업계의 위기감도 계속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는 모건스탠리, 노무라종합연구소, 메릴린치, BNP파리바, 페레그린, 골드만삭스 등 6개 기관의 각국 전망치를 평균한 결과 모든 국가의 성장률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특히 사스의 진원지인 홍콩과 대외의존도가 높은 싱가포르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홍콩은 관광객들의 소비지출이 지난해보다 무려 65%나 줄어 3.0%로 점쳤던 성장률이 2%대 초반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싱가포르 정부는 이라크전쟁 여파로 수출 주문이 줄어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려던 상황에서 사스 사태까지 터지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도 2월의 대미 수출이 전달보다 22%나 줄어들었다.

국제 투자회사들은 5%선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던 한국의 성장률도 전쟁과 사스의 여파로 3%대 후반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사스가 3개월가량 계속 번지면 동아시아의 관광 수입이 지난해보다 15% 줄어들고 소비지출 감소로 소매 유통업도 위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의 올해 실질 경제성장률을 5.1%에서 4.5%로 낮춰 잡았다.

사스의 진원지인 중국은 아직 피해 실태가 확인되지 않아 조사대상 국가 중 유일하게 7%대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모건스탠리는 “사스와 관련해 필요한 긴급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투자자의 신용을 잃어 장기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다”며 “중국의 새 지도부가 직면한 최초의 시련”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아시아 경제의 불황을 반영해 올 1∼3월 중 아시아 기업(일본 제외)의 주식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액은 50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박원재특파원 parkw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