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20세男 '미성숙한 어른']참을성 부족…충동적 행동 많아

입력 | 2003-02-10 18:39:00


학교 폭력에 시달리다 자퇴한 뒤 돈을 벌려고 장기 밀매를 의뢰했다가 밀매단에 납치된 청소년, 교수와 기업 이사의 자녀들로 부모가 동거를 허락하지 않자 가출한 뒤 택시운전사를 살해한 10대들….

최근 발생하는 범죄 중에는 상식적으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적지 않다.

경찰에 따르면 이전의 범죄가 악한(惡漢)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다면 최근에는 평소 별문제가 없어 보이는 사람이 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갑자기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바로 이런 범죄의 뿌리에 ‘인격장애’가 도사리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장기 밀매를 꾀한 청소년은 ‘회피성 인격장애’, 택시운전사를 살해한 10대들은 ‘경계선 인격장애’를 중심으로 각종 인격장애가 섞여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인격장애자는 더불어 사는 데 문제가 있기 때문에 범죄뿐 아니라 인터넷 중독과 사이버 폭력, 신용카드 남용, 공공장소에서의 소란 등 온갖 사회병리현상의 원인이 된다.

특히 인격장애자는 대인관계가 불편하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되는 사이버 공간에서 마음껏 활개를 치는 특성을 보인다.

정신과 전문의인 이시형(李時炯)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소장은 “한국의 정신의학계에서는 신세대의 인격장애가 최대의 화두”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계기로 국가적으로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격장애는 정신질환=인격장애자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끼친다는 점에서 ‘마늘 애호가’(Lover of Garlic)로 불린다. 자신은 마늘을 좋아할지 모르지만 마늘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곤혹스러움을 주기 때문이다.

반면 노이로제는 남들은 신경을 쓰지 않는데도 스스로 괴로워하기 때문에 ‘신발 속의 돌’(Stone in the Shoe)로 불린다. 스스로만 괴롭다는 의미이다.

인격장애자는 사회나 타인에게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남에게 피해를 준다. 젊은이들이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큰소리로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식당 등 공공장소에서 아이들이 소란스럽게 구는 것도 일종의 인격장애 때문이다.

이 소장은 “나중을 생각하지 않고 충동적으로 신용카드를 사용한 뒤 돈을 갚아야 할 때에는 사회나 카드회사를 비난하는 것도 인격장애자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인격장애 연구에 참여한 서울대 의대 권준수(權俊壽) 교수는 “월드컵 거리응원이나 촛불 시위 등에 참여한 사람들 중 일부는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끄는 행위를 좋아하고 극적인 것에 쉽게 감흥한다는 점에서 히스테리성 인격장애의 한 특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원인은=전문가들은 가정교육의 붕괴와 사회 가치관의 부재가 한국 사회에서 인격장애자를 양산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권 교수는 “핵가족 시대에 자녀에게 다른 사람의 가치와 사회의 규범을 존중하도록 가르치지 않고 기죽지 않게만 키우려는 양육 방식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즉 부모의 과보호와 일관성 없는 양육 태도, 인성보다는 암기력 위주의 교육 등이 인격장애를 낳는다는 것.

그는 “전통적 가치관이 붕괴되고 서구적 가치관이 무비판적으로 도입되면서 인격장애자가 양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빨리빨리’ 문화와 폭력을 정당화하는 대중문화, 외형과 경쟁을 중시하는 문화 등도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가정교육이 급선무=학교교육을 탓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붕괴된 가정교육을 회복하는 데서 대책을 찾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처방이다.

서울대 의대 류인균(柳仁均) 교수는 “가정에서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더불어 사는 것부터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아이에게 꾸중할 때에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곁들여야 하며 참고 기다리는 훈련도 시켜야 한다는 것.

또 이 소장은 “일본에서는 전후 교육비의 60%를 부모 교육에 쏟아부었다”면서 “교육인적자원부는 지금이라도 부모 교육에 투자해 가정교육을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학교에서도 읽기와 쓰기 교육보다는 듣기와 말하기 등에 중점을 둬 다른 사람의 처지를 고려하면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이 소장은 권한다.

인격장애자의 행동에 대해서는 무조건 ‘나쁘다’고 비난하기보다는 우리 사회의 건강하지 못한 부분이 반영됐다고 여겨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인격장애자는 자신의 문제를 잘 모르기 때문에 가족 등 주위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성주기자 stein33@donga.com

12가지 인격장애의 종류와 특징종 류특 징히스테리성주의를 끌려는 행동이 심하고 과장된 표현이 많다. 이성을 쉽게 사귀지만 응석을 안 받아들이면 헤어진다. 강박성지나치게 양심적이거나 철두철미한 사람과 사소한 데 집착하거나 우유부단한 사람 등 두 유형이 있다.분열성대인관계에 문제가 있고 혼자 있기를 즐기며 유머가 없다. 이성에 대한 관심이 적다.반사회적남성 범죄자의 60% 정도. 일정 기간 착실히 지내다가 주기적으로 규범에 반대되는 행동을 한다.의존형여성과 막내에게 많다. 자신의 욕구도 남에게 종속시키고 책임도 떠넘긴다.우울형늘 자신이 불행하다고 호소한다. 자신을 비판하고 경멸해서 일도 제대로 못한다.편집형남을 의심하고 혹시 누가 자신을 욕하는지에 민감하며 예민하고 화를 잘 낸다.정신분열형신비한 것에 잘 빠진다. 가족 외에 친한 사람이 거의 없으며 불안하고 우울하다.회피형대인관계를 피하고 문제를 미뤄 더 큰 화를 초래한다. 속으로는 누군가와 친밀한 관계를 원한다. 경계선우울 짜증 분노를 되풀이한다. 자신이나 남에 대한 평가가 극단에서 극단으로 이동한다.자기애적자신의 능력 외모 중요성을 과대 평가한다. 높은 지위와 이상적 사랑을 꿈꾼다.수동공격형강한 사람에게 약하고 약한 사람에게 강하다. 고개를 숙이고 페달을 밟는 것에 빗대 ‘자전거로 언덕 오르는 유형(Up-Hill Bike)’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