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대선 막판 '태풍의 눈' 2제

입력 | 2002-12-15 19:36:00


《행정수도 충청권 이전과 북핵 위기에 대한 해법이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사활(死活)을 건 막판 공방의 핵심 쟁점으로 불거지고 있다. 행정수도 이전 문제는 수도권과 충청권 유권자들의 최대 관심사란 점에서, 북핵 해법은 이회창(李會昌), 노무현(盧武鉉) 후보의 색깔 차이를 분명히 보여주는 이슈란 점에서 양 진영이 벌이는 공방의 열기는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수도 이전▼

한나라당은 ‘집값 폭락’ 공세로 수도권 표심(票心)을 흔들겠다는 전략인 반면 민주당은 행정수도 이전이 ‘수도권을 살리기 위한 공약’이라는 점을 부각시킨다는 생각이다.

한나라당은 저금리를 이용해 은행대출을 받아 어렵사리 집을 마련한 수도권의 40, 50대가 표심을 바꾸기 시작했다며 행정수도 이전 문제가 판세 변화의 전기를 제공했다고 주장한다. 또 “정치 행정 등 돈 안 되고, 시끄럽고 싸우는 것은 충청도로 보낸다”는 노 후보의 11일 인천발언도 이중적 자세라며 득표전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민주당은 행정수도 이전이라는 이슈를 선점, 충청권 표심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으나 수도권을 겨냥한 한나라당의 ‘집값 폭락’ 공세가 일부 먹혀들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적잖게 긴장하고 있다.

민주당은 “행정수도 건설로 집값, 땅값이 떨어진 곳이 있느냐”며 한나라당 주장을 ‘무책임하고 악의적인 공세’라고 비난하면서 행정수도 이전은 수도권을 살리기 위한 ‘노무현식 그랜드플랜’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낙연(李洛淵) 대변인은 행정수도 이전으로 안보가 위태로워질 것이라는 한나라당 주장에 대해 “3군 본부의 대전 이전으로 안보가 위태로워졌는지를 먼저 대답하라”고 맞받았다.

민주당은 또 이 후보도 97년 7월16일 신한국당 대전·충남 합동연설회장에서 “문화와 경제, 행정 모든 부분에서 (대전이) 제2의 행정수도로 자리잡도록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며 역공을 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홍준표(洪準杓) 제1정책조정위원장은 “이 후보의 당시 공약은 이미 대전 둔산 타워의 신정부청사에 조달청 등 11개 기관이 이전하기 시작한 사실을 상기시키고 이를 지원하겠다는 것으로, 노 후보의 천도(遷都) 주장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반박했다.

부형권기자 bookum90@donga.com

▼북핵문제▼

한나라당은 안정을 희구하는 부동층이 이 후보 지지로 돌아서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평화를 택할 것이냐, 전쟁을 택할 것이냐”는 논리로 북핵 문제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자세다.

이 후보는 연일 “북한에 준 현금이 서해교전에선 총탄으로, 이후에는 핵무기 개발로 돌아왔지만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눈치를 살피느라 한 마디도 문제삼지 못한 채 국민 보호를 포기한 민주당 노 후보에겐 표를 줘선 안 된다”며 목청을 높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또 노 후보와 국민통합 21 정몽준(鄭夢準) 대표간 연대 이후 노 후보가 “북한에 대한 현금지급 중단은 안 된다”는 기존 입장을 바꿔서 “중단을 고려할 수 있다”고 선회한 것도 ‘말바꾸기’의 사례로 집중 공격한다는 계획이다.

홍준표(洪準杓) 제1정조위원장은 “노 후보는 정 대표 지지자의 표를 얻기 위해서라면 하루아침에 대북한 정책의 골간을 바꿀 수 있는 정치인이란 사실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반면 노 후보는 이 후보를 ‘전쟁불사론자’로 규정해 “전쟁 불안이 조성되면 외국 투자가 썰물처럼 빠져나가 경제 파탄이 온다”는 논리로 역공하고 있다. 한나라당과 이 후보를 ‘강경 모험주의 세력’으로 덧칠해 ‘역(逆)색깔론’을 편다는 복안이다.

여기에는 북한 문제가 과거처럼 보수세력을 결집시키는 쪽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결국 남북관계는 평화적 해결의 원칙 아래 대화로 풀어가야 한다는 논리가 유권자들에게 더 광범위한 호소력을 갖고 있다는 게 민주당측의 계산이다.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북핵 문제를 선거전에 이용하려는 측은 유권자들로부터 외면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김승련기자 sr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