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전진우칼럼]그들의 '러브 샷'

입력 | 2002-11-18 18:28:00


노무현(盧武鉉)씨와 정몽준(鄭夢準)씨가 한밤중에 서로 팔을 걸고 소주잔을 비웠다. 흔히 말하는 ‘러브 샷(love shot)’이다. ‘러브 샷’은 그러나 ‘원 샷(one shot)’과 함께 잘못 쓰이는 한국식 영어의 대표적 예다. ‘원 샷’의 우리 식 해석은 술잔에 담긴 술을 단숨에 들이켜라는 것이지만 영어의 뜻은 ‘주사 한 방’이다. ‘러브 샷’ 또한 사랑이나 우정을 확인하는 예식쯤으로 풀이되지만 실은 ‘총에 맞아 죽은 사랑’이나 ‘사랑의 주사약’이다(소설가이자 번역가인 안정효씨의 ‘가짜영어사전’에서).

▼'정치 원칙' 없이 '정치 셈법'만▼

하기야 지금 그런 걸 따질 때는 아닐 터이다. 관심사는 노-정 두 사람이 팔을 걸고 소주를 마셨다는 것이다. 대통령후보 단일화에 합의한 직후 포장마차에서 그들은 그렇게 ‘러브 샷’을 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러브 샷’이 달콤한 예식만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이 단숨에 비워낸 소주의 뒷맛처럼 한 쪽은 일주일 내에 쓴맛을 봐야 하는 절박한 게임이다. 이기는 쪽이 후보가 되고 지는 쪽은 선거대책위원장을 맡기로 했다지만 어차피 ‘윈-윈 게임’이 되기는 어렵다. 권력의 세계에서 둘 다 이기는 법이란 좀처럼 없으니까.

정치사적으로 둘 다 이길 수 있는 게임이 있기는 있었다. 1987년 DJ-YS 단일화가 이루어졌다면 두 김씨는 우리 정치사에 함께 승자로 기록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당시 두 김씨에게 역사의 기록이란 한낱 종잇조각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밀리면 끝장이라는 권력논리 앞에서 그들은 함께 패자가 되는 길을 고집했다. 두 김씨는 그렇게 민주화를 향한 국민적 열망을 외면했다.

실패한 DJ-YS 단일화에 견주어 노-정 단일화 합의에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다만 1987년의 단일화 실패와 2002년의 단일화 합의를 같은 잣대로 저울질하는 것은 무리다. 우선 두 시기의 정치적 환경이 다르고 김-김과 노-정이란 구성 요소가 다르다. 단일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호응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그 근본 이유는 노-정 단일화가 ‘정치 원칙’를 떠나 철저히 ‘정치 셈법’을 따른 데 있다. ‘1강 2중’의 구도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한들 제 논에 물대기식 명분에 지나지 않는다.

노-정 단일화가 보다 넓게 공감을 얻으려면 ‘낡은 정치의 틀을 깨 정치혁명을 이룬다’는 구호만으로는 안 된다. 단일화의 승자가 누가 됐건 두 정파가 어떻게 힘을 모아 어떤 방향으로 나라를 이끌고 가겠다는 것인지 공동의 청사진을 먼저 내놓아야 한다. 현재의 순서는 토론 후 여론조사로 ‘대표선수’를 정해 놓고 조율한다는 것이나 정체성이나 이념적 측면에서 같은 점보다는 다른 점이 훨씬 많은 노-정 두 사람이 총론에서 각론까지 어느 만큼이나 접근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하물며 누구로 단일화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면 노-정 단일화의 불안정성을 높일 뿐이다.

단일화를 통해 정권을 잡더라도 ‘나눠먹기’는 안 한다는 말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사실상의 공동정권에서 권력 분점은 피할 수 없는 일 아닌가. 정체성이 다른 두 정파의 권력 분점에서 비롯되는 국정 혼선과 국가적 피해는 지난 ‘DJP 연대’에서 볼 만큼 보았고 겪을 만큼 겪었다. 따라서 이는 결코 ‘러브 샷’으로 넘어갈 수 없는 문제다.

▼진정한 '러브 샷'이 되려면▼

아무튼 노-정 단일화 합의로 한 달 뒤의 대통령선거는 5년 전 대선과 마찬가지로 접전의 양상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도 성급한 대세론은 접어야 할 듯싶다. 선거개혁에는 후보 따로, 당 따로이면서 ‘철새 정치인’을 받아들여 몸집을 불린다고 대세가 되는 것은 아니다. 식상한 메뉴로 유권자에게 ‘탁월한 선택’을 권유할 수는 없지 않겠는가. 노-정 또한 단일화를 통한 ‘누구 풍(風) 되살리기’를 대선 카드로 활용하려는 유혹을 떨쳐내야 한다. 노-정 단일화가 고작 그런 수준이라면 노풍이든 정풍이든 이미 그랬듯이 얼마 못 가 잦아들 것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12월 19일에 국민 다수가 누구와 ‘러브 샷’을 나누느냐는 것이고 진정한 ‘러브 샷’이 되려면 게임의 공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럴 때만이 새로운 시대의 희망을 말할 수 있다.

전진우 논설위원 youngj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