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소설]8월의 저편 104…삼칠일 (3)

입력 | 2002-08-21 18:44:00

번역 김난주 그림 이즈쓰 히로유키


여자는 치맛자락을 끌어올려 양끝을 묶고 산길로 접어들었다. 달빛을 가로막고, 어둠에 그림자를 드리우며 어둠을 더욱 짙게 만드는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사이로 난 좁은 길을 걷고 있는데, 불현듯 목졸린 여자의 목에서 터져나오는 듯한 소리가 들리면서 무언가가 머리 위에서 푸드득 날아올랐다. 부엉이다. 여자는 가슴에 손을 얹고 심호흡을 하고, 피부에 딱 달라붙은 공포를 벗겨내려 하지만, 목덜미에서 옷깃 안으로 들어간 머리카락에 화들짝 놀라 두 손으로 털어낸다. 괜찮아 괜찮다니까 안 무서워 뭐가 무서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주소

정든 님이 오셨는데 인사를 못해

나무 뿌리에 걸려 넘어져 아리랑 노래 소리가 끊겼다. 여자는 등을 펴고 보폭을 좁히고, 위로 위로 이어지는 길을 쳐다보며 앞으로 나아갔다. 산으로 들어온 지 오래지도 않은데 벌써부터 다리와 폐가 비명을 지르고 있다. 장딴지와 허벅지 뒤가 아프다. 턱을 위로 치켜들고 나무 가지와 잎 사이로 초승달과 별을 찾을 수도 없고, 오른쪽 왼쪽 오른쪽 왼쪽 걷고 있는 다리, 발치에서 졸음이 피어오른다. 저녁 때, 그 사람의 품에서 얕은 잠을 잔 후 한 잠도 자지 않았다. 그 전날 밤도 자지 못했다. 잠시 쉴까. 하지만 지금 멈춰서면 나무등걸에 기대에 잠들고 만다. 미령! 당신 목소리! 여자는 어깨 너머로 뒤를 돌아보았다. 없다, 있을 리가 없지, 이런 산 속에. 여자는 오른 손등으로 눈을 비벼 보았지만, 너무도 고통스러운 나머지 눈에 비치는 것은 두 발 밖에 없었다. 짚신이 닳아 피가 스며나온 오른발과 왼발. 오른쪽 왼쪽 오른쪽

왼쪽 용하, 용하, 용하, 용하, 나는 당신의 아이를 갖고 싶다는 바램을 이루고 싶은 것인지 그 바램으로부터 해방되고 싶은 것인지 잘 모르겠다. 어제 나는, 간다, 는 당신에 말에 등을 돌렸다. 당신은 내 몸에 두 팔을 두르고, 허벅지에 얼굴을 묻고 웅얼거렸다. 왜 같이 있고 싶지 않겠나 미령, 헤어지고 싶지 않지 미령. 당신의 목소리다, 귓전에, 도처에. 미령, 정말 이쁘다 여기도 여기도 여기도 전부 내 꺼다. 여자는 진창에 발이 빠져 있는 것을 알고는 사방을 돌아보았다. 커다란 바위와 바위 사이에서 물이 솟아 나오는 조그만 샘이 있었다.

글 유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