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연극]무대 휘어잡는 김지숙의 '두 여자'를 보고

입력 | 2002-05-03 18:00:00

아이를 낳지 못하는 맏며느리 영순(김지숙·오른쪽)과 첩으로 들어온 경자(서정)


《5일까지 서울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되는 연극 ‘두 여자’(유상욱 극본, 윤우영 연출)는 ‘김지숙을 위한 작품’이다. 여럿이 출연하는 정극에서 그는 유독 돋보인다.

그 이유는 작품속 인물과 동일화하는 탁월한 연기력에 있다. 혼자 극을 이끌었던 모노드라마 ‘로젤’에서 수십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김지숙의 힘’을 다시금 확인한 셈이다.》

‘두여자’는 1994년 대종상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 등 6개 부문을 수상한 영화 ‘두여자 이야기’를 연극으로 재구성한 작품. 아이를 갖지 못하는 맏며느리 영순(김지숙)과 남동생 학비를 위해 첩으로 들어온 경자(서정)의 일대기다. 한국전쟁 직후 고집센 최씨 가문에서 ‘악연’으로 만난 두 여인. 영순은 경자의 아이를 키우고, 경자는 남편이 죽자 사랑이 그리워 작부로 전락한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이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에 기댄다.

국회의원이 된 아들을 기다리며 바닷가에 머물던 영순이 경자의 영혼과 만나는 마지막 장면은 이 작품의 백미. 자신이 두부장사, 삯바느질로 키운 아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임을 알게 된 경자가 눈물을 머금는 모습은 이 시대 어머니의 소중함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무대 바로 앞에 물가를 만들어 설거지와 빨래를 하고, 극 중간에 시어머니와 시누이 등을 인형극으로 보여준 것은 색다른 시도였다. 영순과 경자 외의 인물들을 실루엣으로 처리해 두 여인에 대한 집중도를 높인 부분도 돋보였다.

하지만 젊은 아낙에서 노인까지 수십년의 세월을 1시간여의 연극에 담는 것이무리였을까. 작품이 진행되면서 무리한 축약으로 극의 흐름이 끊긴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김지숙의 상대역인 영화배우 겸 탤런트 서정도 연극 데뷔무대여서인지 아직은 버거워보였다. 온몸을 던지며 진정한 사랑을 받지 못한 여인으로 열연했지만 시선처리와 발음이 부정확했다. 토 오후 3시 7시반, 일 오후 3시. 1만∼3만원. 02-790-6295, 1588-7890.

황태훈기자 beetlez@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