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책으로 짓는 집]'시간에 얽매인 삶' 무엇을 찾고있나

입력 | 2002-04-12 18:52:00


조선 후기 실학자인 담헌 홍대용은 시계에 관심이 많았던 사람이다. 그의 삶에서 시계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29세 되던 1759년 호남의 숨은 과학자 나경적을 만나는 장면에서다. 베이징 여행기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에 보면, 직접 자명종을 만들어 집에 감춰둔 이 칠십 노인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홍대용은 이 노인과 함께 자비를 들여 일종의 천문 시계인 혼천의까지 만들었다.

뉴욕 록펠러센터에 가면 이 혼천의와 비슷한 구체를 든 아틀라스 동상을 볼 수 있다. 어린 시절, 이 동상을 보면서 자란 소녀가 바로 경도 계산의 역사와 해상시계 발전사를 추적한 ‘경도’의 작가 데이바 소벨이다. 지구의 세로축 방위를 가리키는 경도는 정밀한 시계의 개발 없이는 계산해내기 어려웠다. 곧 시계가 있어 무역과 침략의 역사가 본격화됐고 지구가 하나의 세계가 됐다는 뜻이다. 아니나 다를까 최근 출간된 히라카와 스케히로의 ‘마테오 리치’를 보면, 중국에 들어가는 리치의 손에 자명종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테오 리치가 중국에 들어간 뒤 베이징에는 동서남북 4개의 천주당이 생겼다고 한다. 그 중 조선인들이 잘 가던 남천주당에는 거대한 시계탑이 있었다. 베이징에 도착하자마자 이곳에 들른 홍대용은 이를 ‘자명종을 감춘 집’이라고 표현했다. 남천주당의 파이프오르간을 처음 보자마자 조선 음악을 연주했던 홍대용은 나중에 박지원에게 “나라에서 허락만 하면 그 악기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는데, 아마 시계탑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렇게 들어온 시계는 우리 마음의 풍경을 완전히 바꿔버렸다.

루이스 멈포드는 ‘증기엔진이 아니라 시계가 현대 산업사회의 핵심 기계’라고 말했다. 효율과 의미만을 따지는 이 기계는 현대인은 모두 올바른 시간에 올바른 장소에 있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주장이 산업사회의 효율과 의미를 위한 것이지,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일정으로 빼곡한 수첩은 앞으로 당신이 무엇을 할 것인지 보여준다. 그런데 지금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베트남 승려 틱낫한의 ‘거기서 그것과 하나 되시게’에는 설거지하는 방법이 나온다. “설거지를 할 때에는 설거지만 해야 합니다. 바로 그게 요점이지요.”

‘지금’을 잃어버린 사람은 설거지만 할 수 없다. 늘 다른 생각뿐이다. 200여 년 전, 홍대용은 ‘지금’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시계에 매료됐다. 하지만 시계와 함께 태어난 우리는 그렇게 많았던 ‘지금’을 다 잃어버렸다. 천천히 열까지 숫자를 헤아려 보라. 당신의 삶은 그런 순간들로 이뤄져있다. 철저하게 관리된 일정 속에 있는 게 아니라.

소설가 larvatus@neti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