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대표, '특정계보 대리인' 의구심 여전

입력 | 2001-09-10 18:35:00


《10일 열린 민주당 당무회의에서 대표 지명자 인준을 둘러싸고 격론이 벌어진 것은 여당으로서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이는 그만큼 한광옥(韓光玉) 대표 체제의 앞길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선 한 대표에 대한 당내 일각의 의구심이 앞으로 끊임없이 당내 파열음을 빚어낼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측은 한 대표가 내년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공정한 관리를 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얘기하고 있지만 고개를 가로젓는 사람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 대표가 일부 최고위원들과 초재선 그룹의 반발 및 동교동계 신·구파의 대립을 무마하면서 공정한 관리자로서의 신뢰를 확보하려면 ‘동교동계 구파의 대리인’ 이미지부터 벗어 던지는 노력이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11일 후속 당직 인선이 관심을 끄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DJP 공조가 와해됨에 따라 소여(小與)를 이끌게 된 한 대표는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서도 대야 관계 복원을 위해 적극 나설 것으로 보인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당장 한 대표에게 기대하는 역할도 당내 문제 해결보다는 대야 관계 복원일 가능성이 있다. 다음은 당무회의 발언록.

▽조순형(趙舜衡) 의원〓당-정부-청와대 개편에 당 의견 반영이 미흡했으므로 대표 인준을 위한 당무위원 회의를 연기하자.

▽이협(李協) 총재비서실장〓논란은 있을 수 있지만 결정은 해야 한다.

▽김근태(金槿泰) 최고위원〓대표 인준은 당이 환영하는 분위기에서 이뤄져야 하므로 연기하자. 참모인 대통령비서실장이 지휘관인 당 대표로 바로 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대통령이 당정 쇄신을 포함한 국정 쇄신을 약속했는데 오늘의 인사 흐름은 그에 부합되지 않는다. 나는 반대한다. 무기명 비밀투표로 인준 여부를 결정하자.

▽한화갑(韓和甲) 최고위원〓애당적 차원의 결단을 내려야 한다. 개인과 당의 논리가 충돌할 경우 무엇을 따라야 하는가.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야 한다.

▽김옥두(金玉斗) 의원〓우리 당에는 계보라는 것은 없다. 만장일치는 아니더라도 인준하자.

▽박상천(朴相千) 최고위원〓김 최고위원과 조 의원의 얘기에 일리가 있다. 하지만 선택이 불가피하다.

▽천정배(千正培) 의원〓이른바 ‘빅3’ 인선에 국민의 의견이 반영됐는지 의문이다. 최고위원회의에서 다시 논의해 달라.

▽임채정(林采正) 국가전략연구소장〓절호의 기회를 놓쳤다는 아쉬움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희망과 단합은 말로만 되는 게 아니므로 너무 논란이 길어지면 안 된다.

▽김원기(金元基) 최고위원〓이번 인사에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청와대 보좌진이 책임을 져야 하는데 반성도 없고 책임을 지려고도 하지않는 데 문제가 있다. 봉합만으로는 안 된다.

▽김중권(金重權) 대표〓만장일치로 인준을 하자.

▽조 의원〓그렇게 해선 안 된다. 당이 어려운 시기에 분란을 일으키자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

▽김 대표〓표결에 찬성하는 분과 반대하는 분 차례로 거수해 달라.

(거수에서 참석자 61명 중 김근태 정대철(鄭大哲) 정동영(鄭東泳) 최고위원과 조순형 신기남(辛基南) 천정배 의원 등 6명만 표결에 찬성했고 나머지는 반대했다.)

▽김경재(金景梓) 의원〓대통령수석비서관 개편을 대통령에게 건의해 달라.

▽한광옥 신임대표〓(인준안 처리 후 회의 참석) 개혁과 화합이라는 큰 원칙으로 당을 운영해 나가겠다.

fullm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