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16세기 국보급 회화명작 日유출 ‘소상팔경도' 귀국

입력 | 2001-09-10 18:11:00


일본에 유출됐던 조선시대 16세기의 국보급 회화 명품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가 고국으로 돌아온다.

일본 고베(神戶)에 살고 있는 재일동포 사업가 김용두(金龍斗·77) 덴리(天理)개발 회장은 최근 일본에서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를 만나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이 ‘소상팔경도’를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하기로 합의했다.

var soPix = new Array("/docs/news/newsphoto/img/so1-s.jpg","/docs/news/newsphoto/img/so2-s.jpg","/docs/news/newsphoto/img/so3-s.jpg","/docs/news/newsphoto/img/so4-s.jpg","/docs/news/newsphoto/img/so5-s.jpg","/docs/news/newsphoto/img/so6-s.jpg","/docs/news/newsphoto/img/so7-s.jpg","/docs/news/newsphoto/img/so8-s.jpg");var thisPic = 0; var lastPic = 7; function processPrevious() { if (document.images) { if (thisPic==0) { thisPic=lastPic; } else { thisPic--; } document.myPicture.src=soPix[thisPic]; }}function processNext() { if (document.images) { if (thisPic==lastPic) { thisPic=0; } else { thisPic++; } document.myPicture.src=soPix[thisPic]; }}

‘소상팔경도’는 중국 후난(湖南)성의 샤오수이(瀟水)강과 샹장(湘江)강이 만나는 둥팅(洞庭)호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8폭에 나누어 담은 그림으로 조선시대 대표적 회화 장르의 하나.

종이에 수묵으로 그려진 이 그림의 작자가 누구인지는 모른다. 하지만 ‘산시청람’(山市晴嵐·봄철의 아침 나절 풍경) , ‘연사모종’(煙寺暮鐘·안개에 싸여 저녁 종소리 울리는 산사의 풍경), ‘강천모설’(江天暮雪·겨울 저녁 눈 내리는 강과 하늘 풍경) 등 91×47.7㎝ 크기의 그림8폭으로 구성돼 있는 이작품은 명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을 감정한 전문가들은 “먹의 농담(濃淡)에 계절의 변화가 잘 표현됐고 구도 역시 뛰어난 국내 최고 수준의 ‘소상팔경도’”라고 평가했다. 현재는 족자로 되어 있으나 원래는 병풍이었다. 시가 50억원을 호가하는 이그림은 국공립박물관 기증 단일 문화재 중 가격면에서 최고 수준이다. 현재 국내엔 안견(安堅)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소상팔경도’가 있지만 이그림이 작품성이나 크기면에서 훨씬 더 뛰어난 대작이다.

기증자 김용두씨

중앙박물관은 11월 중 이 작품을 국내에 들여온 뒤 김 회장의 뜻에 따라 그의 고향인 경남 사천 인근의 국립진주박물관에 전시할 계획이다.

김 회장은 8세 때 아버지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간 뒤 철공장 사업으로 크게 성공했다. 그는 일본 내의 대표적인 한국 문화재 수집가로 지금까지 1000여 점을 수집해 1997년과 지난해 170여 점을 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바 있다.

kp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