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친다->안친다->다시 친다…에밀레종 타종 '오락가락'

입력 | 2001-09-05 18:45:00


친다, 안친다, 다시 친다….

국립경주박물관이 국보 29호 성덕대왕신종(일명 에밀레종·경주박물관 소장)을 10월9일 다시 타종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 박물관이나 문화재 전문가들이 너무 우왕좌왕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의 에밀레종 타종과 관련된 국립경주박물관의 결정은 다음과 같다.

△1992년〓1993년부터 타종 중단하기로 결정

△1996년〓시험 타종 실시

△1999년〓2000년 가을부터 타종 재개하기로 결정

△2000년 9월〓타종 재개 중단하기로 결정

△2001년 9월〓다시 타종 재개하기로 결정

거의 1년 단위로 타종 여부를 놓고 결정이 바뀌어온 셈이다. 물론 의견이 분분하고 결정을 자주 번복하는 것은 그만큼 신중하게 처리해야 할 사항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종은 소리를 낼 때 진정한 존재 가치가 있다’는 타종론과 ‘성덕대왕신종은 후대에 물려주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함부로 타종을 해서 훼손시켜선 안된다’는 타종불가론이 팽팽히 맞서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1년 단위로 결정이 뒤바뀌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경주박물관은 “종의 강도 등 안전 상태의 변화를 1, 2년 더 지켜본 뒤 타종 재개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금, 그 때와 지금 종의 상태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것이 박물관 관계자의 전언이다. 전문가들도 1년 사이에 종의 상태가 별로 달라질 게 없다고 말한다.

별 차이가 없는데도 지난해엔 ‘타종 재개 중지’였고 올해는 ‘타종 재개’다.

문화재를 사랑하는 한 시민은 이렇게 말한다.

“신중한 것은 좋습니다. 그러나 ‘친다’ ‘안친다’를 놓고 언제까지 왔다 갔다 할 겁니까?”

kp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