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재테크카페]프랜차이즈 창업, 믿을만한 브랜드 선택이 성공 첫걸음

입력 | 2001-08-19 18:56:00


▽이경희 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국내에 프랜차이즈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80년대 중반이었다. 지금은 어린이들도 프랜차이즈라는 말을 알 정도로 널리 퍼졌다. 프랜차이즈가 급속도로 성장한 것은 본사가 사업의 핵심노하우나 관련기술을 지원해주고 널리 알려진 공동브랜드로 홍보하기도 쉬운 점 등이 요인이다. 사업경험이 없는 퇴직자들도 유망업종을 고르고 꼼꼼하게 절차를 밟아나가면 쉽게 창업할 수 있다.

▽이인숙 장독대시흥점 사장〓3월부터 프랜차이즈가맹을 알아봤다. 남편이 동아일보에 실린 프랜차이즈 관련 기사를 모두 모아 정보를 얻기가 쉬웠다. 5월에 창업전문가를 만나 상담을 하고 적합한 업종을 선택한 뒤 7월말에 가게를 열었다.

▽이 소장〓프랜차이즈업종도 유행에 민감하다. 사람들의 생활방식이나 소비양식이 바뀔 때 새로운 업종이 생기게 마련이다. 하지만 ‘프랜차이즈꾼’들이 업체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본사의 경쟁력이 떨어져 가맹점주들이 피해를 보기도 한다.

▽이 사장〓본사를 고를 때는 자신이 무엇을 잘 할 수 있느냐를 감안해야 할 것 같다. 나는 조리사자격증이 5개이고 요리에 관심이 많은 점을 활용할 수 있는 본사를 고르는 게 좋다는 전문가의 조언을 따랐다. 처음에는 힘이 덜 것 같은 도넛체인을 고려했지만 마진도 적고 재고부담도 크다는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포기했다.

▽김계화 사임당코리아 대표〓업체를 선정할 때는 비용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산후조리원 같은 경우는 내부장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자금 수억원이 필요하다.

▽이 소장〓창업 희망자가 적극적인 성격이라면 직접 발로 뛰면서 정보를 얻는 경향이 있다. 요즘에는 신문 등에 프랜차이즈 기사와 정보가 많이 게재돼 정보확보가 쉬운 편이다. 창업 성공 확률을 더 높이려면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도 방법이다.

▽이 사장〓요리에 관심이 많다는 점을 살려 결국 반찬전문점을 선택했다. 본사를 고르는 게 큰 도움이 된 것은 현장체험 프로그램이었다. 기존 가맹점 3곳을 이틀씩 방문해 판매도 해보고 가맹점주와 대화도 해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됐다. 반찬전문점 본사와 6월초에 계약했고 점포를 6월20일에 얻었다. 본사를 고른 뒤 사실상 한달 만에 창업한 셈이다.

▽이 소장〓이 사장의 경우는 빨리 창업한 사례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좋은 창업컨설팅업체에서는 가맹점 내용을 다 확보하고 매출현황과 본사의 신뢰도 등을 점검한 뒤 일정 기준을 통과한 본사를 대상으로 현장체험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으므로 활용할 만하다.

▽이 사장〓나의 경우는 본사에서 가맹점터도 소개해줬다. 본사가 어느 곳에서 장사가 잘 되는지를 파악하고 있었다. 물론 최종 선택은 내가 했다.

▽김 대표〓보통 본사가 입지선정을 도와준다. 본사에는 해당 업종에 전문가들이 있어 목만 봐도 장사가 될지 안될지를 안다. 또 본사는 영업권역을 구분해 가맹점의 영업을 보장해준다.

▽이 소장〓가맹점 창업에서는 인테리어가 중요하다 보니 실내장식업자가 직접 프랜차이즈본사를 세우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본사가 인테리어차익만 챙길 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김 대표〓가맹 희망자가 찾아오면 경영마인드가 있는지를 먼저 살핀다. 산후조리원의 경우는 상담 및 서비스업이므로 얼마나 고객에게 친절할 수 있는지도 중요하다.

또 본사를 고를 때는 설립연도와 가맹점수도 참고사항이 된다. 오래 되고 가맹점수도 많은 본사가 잘 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가맹점창업 성공에는 본사의 지원이 20∼30%를 차지할 뿐 70∼80%는 가맹점주가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에 달렸다.

lee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