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국정홍보처 무얼 하고 있나

입력 | 2001-07-22 18:52:00


우리나라를 소개하는 외국의 인터넷 사이트에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내용들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감사원은 올해 ‘한국방문의 해’와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를 맞아 관광분야 특감을 실시한 결과 사이버공간상의 국가홍보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곧 국정홍보처 문화관광부 등에 시정조치를 내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감사원이 지적한 오류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에 대한 소개가 어쩌다 여기까지 왔는지 분통이 터진다. 이들 사이트는 ‘한국에는 사기가 판치고 있다’ ‘제주도는 화산폭발 위험이 있다’ ‘개 고양이 학살이 국가적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한국을 묘사하고 있다. 한 사이트는 ‘한국방문 전 간염 장티푸스 소아마비 등 각종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며 전염병 천국인 것처럼 적고 있다.

이들 잘못된 사이트 때문에 한국의 대외 이미지가 크게 망가지고 있다. 관광객이나 한국에 투자하고 싶은 기업가에게 모두 한국은 ‘가고 싶지 않은 나라’라는 인식이 심어질 수밖에 없다. 이 같은 부정적 인식이 내년 한일 월드컵 등에 어떤 작용을 할지 걱정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이 같은 잘못된 내용들은 거의 고쳐지지 않은 채 오히려 확대 재생산되고 있어 국정홍보처 등 관련부처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이는 국정홍보처가 최근 국내 문제와 관련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과는 참으로 대조적이다. 국정홍보처는 요 몇달 새 언론사 세무조사 등 국정현안과 관련한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에 대해 시정이나 반론권을 요구하는 등 어느 때보다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물론 국정홍보처는 해외홍보원을 통해 ‘오류신고 코너’ 등을 운영하고 있고, 지난해 이후 잘못된 정보 947개를 적발해 이 중 116건을 시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 정도로는 크게 미흡하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수차례 지적된 ‘동해’의 ‘일본해’ 오기(誤記)문제만 해도 아직 300여개 사이트가 그대로라고 하니 그동안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국정홍보처측도 예산과 인력부족으로 한계를 느낀다고 실토한다.

그렇다면 국내홍보는 예산과 인력이 풍부해 그처럼 열심이란 말인가. 인터넷이 중요한 홍보수단이 된 요즘 한국의 이미지를 먹칠하는 잘못된 정보들이 하루빨리 고쳐져 한국을 바로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국정홍보처의 적극적이고 기민한 대처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