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터뷰]벤처기업 '안띠꾸스'사장 김준목씨 고서적상 변신

입력 | 2000-09-26 18:28:00


첨단을 좇던 30대 벤처인. 그가 어느날 서양의 고서(古書)에 미치더니, 아예 고서점을 차렸다. 그리곤 희브리어 라틴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번엔 영국에 가서 고고학을 공부할 계획까지 세웠다.

새로운 ‘느림’의 삶에 눈 떠가는 사람, 한국의 서양고서적상 1호 김준목씨(38). 7월 개설한 서양 고서 전문사이트 ‘안띠꾸스’(www.antiquus.co.kr)의 사장이다.

김사장은 스티커사진 촬영기 등을 수출해, 돈도 웬만큼 번 성공 벤처인이다. 그가 왜 이렇게 정반대의 삶에 빠져든 것일까.

김사장이 서양 고서를 처음 만난 것은 1980년대말. 무역회사 직원이었던 그는 유럽 출장을 가면 짬을 내 벼룩시장이나 고서점을 즐겨 찾았다. 그러던 중 1993년 이탈리아 로마의 길거리에서 한 고서 노점상을 만났다. 그 노점상은 화가이기도 했다.

“그를 자주 만나면서 책 얘기, 그림 얘기를 했죠. 어느날 하루 온종일을 그 사람과 함께 지냈는데 이탈리아의 유명 인사들이 많이 오더군요. 지휘자 정명훈씨도 거기서 책을 사갔습니다.”

그 때부터 고서에 빠졌고 그 고서적상에게서 열심히 책을 사들였다. 좀 익숙해지자 그를 따라 이탈리아 각지를 돌면서 책을 구했다. 르네상스시대 책들이 주종이었다. 레오나르도다빈치의 스케치 원판과 같이 귀중한 것도 적지 않았다.

“한번은 그 고서적상이 오스트리아 황제가 보았다는 성경(1573년)을 보여 주었습니다. 가격을 물어보니 우리 돈으로 2000만원이었습니다. 당장 사지 않으면 책을 놓칠 것 같아서, 한국에 가서 송금해주겠다고 했더니 저를 믿어 주더군요.”

그가 지금까지 구입한 서양 고서는 2000여권. 돈으로 치면 서울 강남의 아파트 한 채 값은 족히 된다. 책을 들여와 선물도 하고 알음알음 팔기도 했다. 책을 통해 사람을 만나는 것이 좋았고 문화적인 분위기도 좋았다. 그래서 아예 그 길로 나서 인터넷사이트 ‘안띠꾸스’를 만든 것이다. 이 사이트엔 16세기의 인문 건축 예술 과학서 1400여권이 소개되어 있다.

“인사동의 할아버지들께서 격려도 많이 해주십니다. 지치지 말라구요.”

김사장은 8월 웹진도 창간했고 얼마 전엔 고서 전시회도 가졌다. 중요한 고서를 번역해 책으로 낼 계획도 갖고 있다.

요즘엔 우리 고서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쓰레기 분리수거 하는 날 밤이면 아파트 단지를 돌며 고물 더미에서 ‘보물’을 찾고 다닌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 주변에 널려 있으니, 행복하지 않을 수 없는 사람”이라고 말하는 그의 얼굴엔 여유가 가득했다.

원래 그림 역사 문명사 등을 좋아했으나 ‘성적이 안돼’ 화학과에 갔다는 김사장. ‘디지털은 아날로그의 한 표현’이라는 깨달음으로, 원래의 꿈을 되찾아가고 있다.

2000만원짜리 성경책이 궁금했다.

“누군가 1억원에 팔라고 하더군요. 팔 생각이 없습니다. 저의 분신이니까요.”

kp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