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건강/하버드 통신]분노 속으로 삭이면 사망률 높다

입력 | 2000-09-17 18:37:00


외로움이나 우울증과 같은 감정은 곧바로 심장마비를 불러일으키지는 않지만 이미 심혈관 질환의 증세가 있는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요소가 된다. 자주 화를 내거나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기 스스로를 점차 심장질환으로 이끌게 된다.

▽분노 어떻게 해야 하나〓분노는 실질적으로 심장질환을 불러오지는 않지만 극히 위험한 요소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특히 이미 심장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에게는 분노의 폭발은 심근경색을 유발한다고 최근 1623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밝혀졌다.

분노를 가슴안에 차곡차곡 쌓아두는 것은 폭발하는 것만큼이나 심혈관에 위험하다. 벨기에의 한 연구에 의하면 자기의 감정을 누르는 경향이 있는 사람은 평범한 사람보다 6∼10년 안에 사망할 확률이 27%나 더 높았다.

분노를 해결하려면 상대와 침착한 분위기에서 서로 대화를 통해 문제점을 풀거나 제3자와 상의하는 게 좋다.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의 분노의 감정을 그대로 받아 들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결책을 찾는 것이다.

▽외로움과 우울증〓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사는 사람은 친구나 친척과 더불어 사는 사람보다 심혈관 질병으로 인해 사망할 확률이 훨씬 높다고 여러 연구 결과가 지적하고 있다.

1992년 듀크대의 연구에 따르면 동맥경화증 환자 중 독신으로 외로이 사는 환자는 5년 내 50%가 사망하였으며 이 수치는 배우자와 같이 생활하는 사람의 17%에 비해 3배 정도 높다.

우울증은 외로움보다 더욱더 나쁜 질병으로 간주된다. 캐나다 퀘백에 있는 몬토리얼심장기구의 과학자들은 6개월간의 사망률을 조사했다. 이 결과 동맥경화증 환자 중 우울증이 있는 환자는 17%의 사망률을 기록했으며 반면 우울증 증세가 없는 환자의 경우 3%에 불과했다.

▽만성 불안심리〓만성 불안심리도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버드의대 연구팀에서 1961년 이후 2280명의 남자 성인에 관한 자료를 조사한 결과 두 가지 이상의 불안심리 현상을 지니고 있는 환자가 보통 사람보다 심장마비로 인해 사망할 확률이 4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떻게 해야 되나?〓걱정이 쌓여 건강을 해치는 것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심리적 고통을 해결하는 편이 훨씬 현명한 것이다. 가능한 한 즐겁게 서로 이해하며 평온하게 살아가는 것이 심장마비에서 탈피하는 좋은 방법이라는 게 하버드의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자료제공〓서울중앙병원(하버드대 협력병원) 심장내과 박승정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