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가전업계 「할인판촉」 공세…특소세 내년 폐지따라

입력 | 1999-08-30 02:28:00


‘가전제품을 지금 사야할까,특별소비세 부담이 줄어드는 내년에 사야할까.’

내년 1월부터 가전제품에 부과돼온 특소세가 폐지됨에 따라 가전 소비자들이 망설이고 있다.

4개월만 기다리면 100만원 짜리 제품을 12만원 정도 싸게살 수 있지만 업체마다 요즘 다양한 간접할인 판촉으로 소비자를 유혹하고 있어 구입시기를 잘 따져봐야 할 때다. 판촉행사를 잘 활용하면 상당한 할인효과를 볼수도 있기 때문.

삼성 LG 대우전자 등 가전 3사는 일단 ‘4개월이나 앞서’ 특소세 폐지방침이 확정,발표된 데 대해 볼멘소리다. 올해 제품을 사려던 소비층이 구매를 미뤄 공장에서 쏟아져 나온 재고품 정리에도 상당한 고충을 겪을 전망이다.

가전 3사는 “자칫 잘못하면 상반기 내수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올 한해 장사를 그르칠 수 있다”면서 “특소세 인하 폭에 상응하는 만큼의 별도 인센티브를 소비자들에게 줘 매기를 살리는 것이 하반기 마케팅전략의 핵심”이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9월부터 TV 등 주요 품목은 권장소비자가격 표시제가 폐지돼 실제 판매가격만 부착해야 하는 ‘오픈 프라이스제’가 시행된다. 종전과 같은 정기 할인판매가 불가능하다는 얘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업체들이 새롭게 내놓을 ‘간접’할인전략을 세심하게 따져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가전업체들이 이미 내놓았거나 검토 중인 간접할인 판촉전략은 크게 △경품제공 △보너스상품 얹어주기 △현금환불(캐시백)제 등. 이 밖에 가을 신제품의 판매시점을 연말로 늦추고 예약을 받은 뒤 내년 1월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사전예약제도 업체들이 재고관리 차원에서 활용할 전망.

삼성전자는 일단 여러 제품을한꺼번에구매하는고객에게 일정액을 환불해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LG전자 관계자도 “100만원어치 이상의 제품을 구입하면 △10만∼20만원대 제품을 보너스로 얹어주거나 △패키지 여행상품권을 주고 △추첨을 통해 고가의 상품이나 현금을 제공하는 방안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같은 가격할인은 대부분 한 회사 제품을 일괄 구입할 경우 실질적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업체 제품을 골고루 사려는 소비자들은 넉 달을 기다리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박래정기자〉eco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