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글로벌 물가 공포, 美는 “죽기살기 대응” 韓은 돈 풀 궁리

글로벌 물가 공포, 美는 “죽기살기 대응” 韓은 돈 풀 궁리

Posted February. 14, 2022 07:47,   

Updated February. 14, 2022 07:47

ENGLISH

 세계 경제가 인플레이션 충격에 빠져들고 있다. 에너지·식료품 가격상승으로 미국 1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7.5%나 상승했다. 40년 만의 최고 상승폭이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최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을 3.5%로 올려 잡았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역시 4개월 연속 3%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다음주 중 올해 물가 전망치를 작년 2.5%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높일 것으로 보인다.

 더 심각한 건 물가상승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최근의 물가상승 압력은 석유류, 식료품 등에 국한되지 않고 내구재 등 전방위로 번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경색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원유 생산량 확대도 지지부진해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에 육박하고 있다. EU 천연가스의 43%를 공급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1970년대 ‘오일쇼크’에 버금가는 충격이 세계 경제를 덮칠 가능성이 크다.

 물가 상승기에 제일 먼저 고통 받는 건 언제나 서민이다. 미국에선 생활물가가 임금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실질소득이 감소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죽기 살기로 물가를 잡겠다”고 한 이유다. 수입 원자재, 부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한국기업들의 타격도 현실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 이달 10일까지 무역수지 적자가 80억 달러를 넘었다. 1년 전 같은 기간 9억5400만 달러 흑자였던 무역수지가 급속히 악화됐다.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현재 ‘제로(0)금리’를 다음달 한꺼번에 0.5%포인트 올릴 가능성도 높아졌다. 그 외의 각국 정부, 중앙은행들도 재정지출을 줄이고 금리를 높이는 쪽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그런데 대선을 앞둔 한국 정치권은 한해 수조∼수십 조 원 들어갈 퍼주기 공약을 연일 쏟아내고 있다. 현 정부가 뒤늦게 주택공급을 추진한 영향으로 올해 3기 신도시 토지보상에 30조 원 넘는 돈이 풀리는 등 물가상승 요인이 산적했다.

 한국 경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원유 의존도'가 가장 높아 고유가 등이 지속될 경우 치명타를 받을 수 있다. 금리인상으로 자산가격까지 하락한다면 소비까지 위축돼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에 빠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정치권이 기존 예산지출은 줄이지 않고 빚을 내 추가경정예산을 확대하라고 정부를 압박해도 될 만큼 한가로운 상황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