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GDP 대체 행복지수

Posted September. 16, 2009 05:50,   

ENGLISH

국민소득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해선 미국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의 연구가 유명하다. 그는 1946년부터 30여개 나라를 대상으로 국민의 행복도를 연구했다. 그 결과 경제력의 강약을 떠나 모든 국가에서 소득수준과 개인의 행복감 사이에 어느 시점까지 비례 관계가 성립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여기까진 상식적 얘기다. 중요한 것은 일정 시점을 지나면 소득이 높아져도 행복도가 더 높아지지 않는 현상이었다. 이스털린의 패러독스다.

행복의 역설은 어디나 존재한다. 소득이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아진다면 미국과 일본 국민이 쿠바와 방글라데시보다 행복해야 하는데 각종 조사를 보면 그렇지 않다. 미국은 1971년부터 1991년까지 20년 동안 국민소득이 83% 증가했지만 행복하다고 느끼는 국민의 비율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국민 행복도 조사 중에는 영국 신경제재단(NEF)과 레스터대학의 국민행복지수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2007년도 1위 국가는 비누아투와 덴마크였다. 비누아투는 태평양의 가난한 섬나라다.

로버트 케네디 전 미국 상원의원은 생전에 국민총생산(GNP)은 삶을 살아갈 가치가 있도록 만드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것을 측정하는 것이라며 소득지표의 한계를 압축적으로 표현했다. 요즘 국가의 경제활동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장 널리 쓰이는 국내총생산(GDP)은 환경악화 등 외부효과나 삶의 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이를 대체하는 경제지표가 없는 것은 개인의 행복을 계량화하는 일이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와 아마르티아 센 교수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에게 행복, 웰빙 등의 지표를 포함시킨 새로운 경제지표 권고안을 제출했다. 새로운 경제지표 창안은 사르코지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다. 새 지표는 GDP 산출방식의 변경, 새로운 행복 측정법, 환경 및 금융안전성 등 3가지로 구성돼 있다. 사르코지 대통령은 이를 내주 피츠버그에서 열리는 G20 회의에 주요의제로 상정할 예정이다. GDP가 세계 13위권인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도는 2007년 NEF와 레스터대학의 조사에서 모두 100위 이하였다. 스티글리츠-센 방식에 따른 행복도는 어떨지 궁금하다.

정 성 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