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계() 10곳 가운데 4곳은 빚을 갚을 능력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세계적 컨설팅업체인 보스턴 컨설팅그룹(BCG)은 6일 국내 한 시중은행에 제공한 가계 금융부채 상환능력 현황 보고서에서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6월 말 현재 가계당 부채와 자산, 가처분소득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BCG는 전체 가구를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10등급으로 나눴을 때 하위 4개 등급은 금융자산과 연간 가처분소득을 모두 합해도 채무를 상환하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금융자산과 가처분소득이 가장 적은 하위 1등급의 가구당 부채는 1900만원이지만 금융자산은 220만원, 가처분소득은 전혀 없어 자산+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851%나 됐다. 또 하위 2등급은 가구당 부채 1830만원에 금융자산 280만원, 가처분소득은 730만원으로 부채비율이 180%였고 하위 3등급과 4등급은 각각 부채비율이 115%와 101%나 됐다.
반면 상위 3개 등급은 부채비율이 1053% 수준으로 자산과 가처분 소득에 비해 부채가 큰 부담 없는 수준이었으며 모든 등급의 총부채를 가처분소득과 자산총액으로 나눴을 때 부채비율은 33%였다.
BCG는 특히 하위 4개 등급은 채무에 따른 이자비용이 가처분소득의 20%를 넘어 생활비 등을 제외하면 근본적으로 빚을 갚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고 분석했다.
BCG에 자료를 요청한 시중은행의 관계자는 전체 가계의 40%가 사실상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은 가계 신용위험이 통제하기 어려운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가계부실이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 조기준() 은행국장은 가계 신용위험이 심각한 상황인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 다소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기가 회복되면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