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금주 안에 상장회사들은 자기회사 주식을 증권시장이 열리고 있는 장중에 살 수 있게 된다. 주가가 폭락할 경우 은행 증권 보험 등 기관투자가들이 공동으로 조성한 증시안정 특별기금으로 주식을 사들이며 가격 급변동을 막기 위해 증권거래소와 코스닥시장의 가격제한폭을 줄이는 방안이 마련된다.
정부는 1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김진표() 재정경제부 차관 주재로 금융정책협의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증시안정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기업들이 장중에 자사주를 사들일 경우 주가를 조작할 염려가 크다는 이유로 증시가 열리기 전인 동시호가 때만 자사주 매매주문을 낼 수 있도록 했으나 앞으로는 장중에도 매매주문을 낼 수 있도록 조치했다.
또 다음달부터 기관투자가인 보험사와 투자신탁회사에 대해 자기 소속 그룹계열사 주식투자 한도를 각각 총자산의 3%와 신탁재산의 10%까지로 넓히기로 했다.
정부는 99년 주식시장이 활황을 보였을 때 보험사에 대해 자기계열사 투자한도를 총자산의 3%에서 2%로 줄이고 투신사의 경우 고객이 맡긴 신탁재산(펀드)의 10%에서 7%로 자기계열 투자한도를 축소했으나 이번에 다시 99년 이전으로 돌렸다. 이 조치는 당초 기관투자가들이 고객 돈을 이용해 그룹사 지분을 확충하는 모럴 해저드를 막기 위한 조치였으나 시장안정을 위해 이번에 투자 걸림돌을 없애준 것이다.
또 국민연금 등 4대 연기금들이 올해 주식투자분으로 잡아놓고도 아직 주식을 사지 않은 돈 2조2000억원을 조기에 증시에 투입하도록 유도하고 소규모 연기금의 금융자산통합운영펀드(인베스트먼트 풀)를 10월초까지 만들어 주가를 떠받치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런 단기대책에도 주가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주식시장 안정에 책임이 있는 은행 증권 보험 등 기관투자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증시안정특별기금을 조성하기로 했다.
임종룡() 재경부 증권제도과장은 특별기금 규모는 수급안정을 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도로 조성할 것이라며 가격제한폭 축소는 거래소와 코스닥에서 이미 준비가 끝난 상태이나 시장상황을 봐가며 전격적으로 단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