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감자탕 식당에서 평범한 시민에게 모욕을 줬다는 UCC(사용자제작 콘텐츠) 동영상이 인터넷에 유포됐다. 실제로는 쇠고기 집회에 참석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수십 명이 거꾸로 홍 원내대표에게 욕설을 퍼부었다. 목격자가 없었다면 꼼짝없이 인터넷 마녀사냥에 걸려들었을 거짓말 동영상이다. 쇠고기 시위 당시 포털사이트에 여대생 사망설과 사진들을 퍼뜨린 최모 씨는 작년 말 징역 10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인터넷 공간에는 지금도 허위사실이 넘쳐난다.
인터넷만이 아니다. 지난해 광우병 관련 핵심내용을 왜곡 보도해 쇠고기 시위를 촉발시켰던 MBC PD수첩에 대해 재미교포 1020명이 12일 미국 현지인들에게 조롱을 당하는 등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며 10억2000만원의 손해배상과 정정 및 사과방송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 인터넷이용자가 인터넷으로, 공중파 중개자가 공중파로 거짓과 증오를 퍼뜨려 나라가 흔들릴 지경이라면 미디어융합 시대가 온 것은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 될 수 있다.
사람에게는 사실과 상관없이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 하는 확인 편향(confirmation bias)이 있다고 한다. 쇠고기 시위 때 왜곡된 정보를 담은 미디어 바이러스가 일파만파로 퍼졌던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지식과 정보의 보고()로 쓰이는 인터넷이 왜 우리나라에서 유독 심하게 거짓과 증오, 분열의 매개체가 되는지 안타깝다.
여대생 사망설을 퍼뜨린 최모 씨처럼 단순히 뜨고 싶어서였든, 이른바 인터넷논객 미네르바가 외환위기를 막으려 했다는 것이 진심이든, 의도적으로 거짓과 증오를 퍼뜨리고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세력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엄연한 거짓이 미디어공간에 난무하는데도 진실이 탄압받는 양 국민을 오도하려는 일부 누리꾼과 매체도 있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특정상대를 해코지하는 콘텐츠를 만들어 유포시킬 수 있고 피해자는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상황을 언제까지나 방치할 수는 없다. 누구든 정보발신자가 될 수 있는 웹 2.0이 한국에서는 거짓말 천국으로 굳어진다면 피해는 사회 전체에 돌아온다. 인터넷이든 미디어든 허위사실로 사회에 피해를 끼치면 반드시 법적 책임을 묻는 제도와 관행을 확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