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 어린이 신문

Posted March. 20, 2008 07:5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결과가 발표되면 세계 각국은 비상한 반응을 보인다. 60여 개국 15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이 조사를 보면 20년 뒤 그 나라의 미래가 어렴풋이 드러난다. PISA는 읽기, 수학, 과학 능력을 평가해 나라별로 순위를 매기는데 읽기 능력이 발표 항목의 맨 앞을 차지한다. 글을 정확하고 빠르게 이해하는 읽기 능력을 가장 중요한 학력() 지표로 여기기 때문일까.

미국의 교육개혁 비전인 한 아이도 뒤처지지 않게는 이 나라 모든 학생의 읽기와 수학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여기서도 읽기가 맨 앞에 올라 있다. 선진국들이 읽기 능력을 중시하는 이유는 읽는 능력이 부족하면 다른 공부를 잘할 수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많이 읽으면 두뇌활동이 촉진돼 사고력(), 비판력이 커진다. 그래서 읽기 능력은 지식사회와 자유민주주의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짧은 시간에 쉽게 키울 수 없는 읽기 능력을 높이려면 글 읽기를 생활화하는 게 가장 좋다. 하지만 영상문화 홍수로 활자매체가 뒷전으로 밀리는 형국이다. 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한국에선 활자이탈 현상이 더 두드러진다. 어릴 적부터 신문과 친하도록 해주는 것도 효과적인 한 가지 대응책이다. 교육당국이 앞장서서 신문 읽기를 권장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도 노무현 정부의 교육부는 오히려 어린이신문 단체구독을 금지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신문사와 학교 사이에 기부금 수수가 있다며 금지를 요구하자 교육부가 수용했던 것이다. 리베이트를 금지하면 될 일인데 과잉규제를 한 것이다. 어린이신문을 발행하는 주요 신문사들이 노 정권에 비판적인 신문이었다는 점도 금지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최근 한국초등교장협의회가 어린이신문의 단체구독을 학교자율에 맡기도록 해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했다. 교장의 98%, 학부모의 96%가 단체구독에 찬성한다는 조사결과도 제시됐다. 그동안 신문 읽기에서 멀어진 학생들의 피해는 누가 책임질 것인지 교육당국의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신문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정상화()를 서둘러야 한다.홍 찬 식 논설위원 chansi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