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사설] 이산가족을 상습적 앵벌이 수단으로 쓰는 북

[사설] 이산가족을 상습적 앵벌이 수단으로 쓰는 북

Posted September. 13, 2010 11:41,   

ENGLISH

북한 적십자사는 10일 이산가족 추석 상봉을 제의하면서 북남 사이의 인도주의 협력사업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추석 이산가족 상봉은 지금부터 준비해선 시간적으로 어렵다. 남북 당국이 상봉시기와 상봉자수를 협의하고 생사확인을 거쳐 대상자를 확정하려면 적어도 한 달 이상 걸린다. 지난해는 8월28일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합의를 하고 한 달 뒤인 9월 26일10월 1일 상봉이 이루어졌다. 북 측도 올해 추석상봉이 어렵다는 것을 잘 안다. 이산가족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헤아린다면 이렇게 졸속으로 상봉 제의를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추석을 불과 열이틀 앞둔 시점에 이산가족 상봉 제의를 한 속셈을 알만하다. 이에 앞서 4일 북은 수해지원 물자로 쌀 시멘트 중장비를 달라고 요청했다. 7일에는 한 달간 억류하던 대승호 선원을 석방했다. 북이 대남() 유화공세를 취하면서 언급한 인도주의 협력사업은 남한의 대규모 지원을 뜻한다. 북은 작년 추석 이산가족 상봉 때 쌀 지원을 요청한 것을 비롯해 이산가족을 줄곧 앵벌이용으로 이용해왔다.

북이 인도주의를 말하려면 동족을 겨냥한 무력도발인 천안함 폭침부터 사죄해야 한다. 북은 작년엔 6자회담은 죽었다고 하더니 지난 5월 국제합동조사단의 천안함 사건 조사 발표 후 다시 6자회담 카드를 들고 나왔다. 도발 후 대화 요구라는 상투적 술책으로 천안함 사태를 넘어갈 수는 없다.

이산가족 상봉은 어떤 형태로든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해마다 3000명이 넘는 상봉 신청자가 세상을 떠나는 현실을 진정 안타깝게 여긴다면 북의 필요에 따라 찔끔찔끔 하는 소규모 상봉은 해결책이 못 된다. 1988년 이후 상봉 신청자 12만8천여 명 가운데 4만4천여 명은 이미 사망했다. 북한은 지난해 겨우 100명을 상봉하게 하고 생색을 냈는데, 이런 식으로는 매년 1000명씩 만나게 해도 80년 이상 걸린다.

해법은 이산가족 상봉을 정례화 상시화해 상봉자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이다. 정부가 상봉 정례화를 꼭 관철해야 한다. 단 한차례 상봉 후 가슴앓이 하는 이산가족의 재상봉도 이뤄지게 해야 한다. 국군포로와 납북자는 상봉이 아니라 송환을 요구해야 한다. 북이 조금만 유화적으로 나오면 받아낼 것은 제대로 받아내지 못하면서 정상회담 같은 이벤트부터 생각하는 행태에선 벗어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