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일어난 김대중() 납치 사건은 한국과 일본 정부의 정치적 타협으로 인해 수사를 통한 진상 규명이 무산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5일 공개한 외교문서에 따르면 사건 해결을 위하여 그해 11월 2일 일본을 방문한 김종필() 당시 국무총리는 다나카 가쿠에이() 일본 총리에게 우리 대통령(박정희)께서 당신이 난처하지 않게 배려하실 것이니 앞으로 김대중 사건은 완전히 잊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다나카 총리는 김 총리의 방일을 계기로 끝을 맺기로 하자. 일본 측 수사본부를 서서히 눌러 가면서 없애겠다며 일본 측 수사를 종결하고 한국에 수사를 일임하는 데 동의했다.
이 사건의 전말은 당시 국가안전기획부의 조사 보고서를 입수한 1998년 2월 19일자 동아일보의 보도로 대부분 밝혀졌으나 한일 외교교섭 과정이 외교문서를 통해 베일을 벗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공개된 외교문서는 작성된 지 30년이 지났으나 국가안보와 개인 사생활 침해 등의 이유로 비공개됐던 194774년 문서 중 지난해 12월 외교문서공개심의회를 통과한 것들로 191건, 1만7000여 쪽 분량이다.
이날 공개된 외교문서는 6일부터 서울 서초구 서초동 외교안보연구원에서 마이크로필름으로 열람할 수 있다. 동아닷컴(www.donga.com)에서도 주요 문서 발췌본 7000여 쪽 분량을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