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노벨상 선정 과정 Process of Nobel Prize Selection
매년 스웨덴의 과학아카데미는 노벨상 수상자의 선정을 위한 추천권자의 선정과 추천된
후보자들의 업적에 대한 평가를 위해 각각 5명으로 구성된 노벨상 위원 들을 임명한다.
각 위원회의 위원들은 통상 3년 내지 5년마다 재선출되는데, 지금까지 노벨상 선정 과정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다.
노벨상 수상자는 과학아카데미의 총회와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간부진들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노벨상의 운용자금을 관리하는 노벨재단은 기금의 관리에만 권한과 책임이 있을 뿐,
수상자의 선정 과정에는 결코 개입할 수 없다. 즉 노벨상의 상금 액수는 노벨재단이 정하지만,
수상자의 선정은 전적으로 스웨덴의 왕립과학아카데미와 카롤린스카 의학연구소의 권한으로 되어있다.
노벨상 후보를 추천할 수 있는 추천자들은 종신 지명권이 있는 사람들과 해마다 후보를 추천하도록
초빙되는 사람들로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
노벨상 후보자 지명에 관한 모든 사항이 도착하면 노벨상 위원회 은 우선 추천된 사람들을 개별적으로
심사한 뒤, 좀더 자세한 평가를 해볼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몇몇 후보를 선정하고 이 사람들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한다.
이리하여 해마다 가을에 열리는 과학아카데미의 총회와 카롤린스카 의학연구소의 간부 회의에서 투표를 거쳐
최종 결정을 내린다.
명문화된 규정에 의해서 최종 수상자의 선정 과정에서 제기된 어떤 의견이나 투표결과도 문서나 기록으로
남길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결정된 노벨상 수상자들은 노벨이 죽은 날인 12월 10일 스톡홀롬에서 스웨덴 국왕에게 노벨상을
수여받게 된다.
노벨상은 스승과 제자가 공동으로 수상하게 되는 상관관계가 상당히 강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들의 약 절반 이상이 노벨상을 수상했거나 나중에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는 과학자들 밑에서
공부한 학생이었거나 공동연구자였다는 것이 이것을 말해준다.
또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연구기관도 상당히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렇듯 초엘리트들은 대개 스승과 제자로 이어지는 강한 사회적 전승 형태를 띠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노벨상을 타는 스승 밑에서 노벨상을 받을 제자가 나올 확률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노벨상 수상자가 없는 국가나 연구기관에서는 처음 한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기가 힘든 것이다.
일단 자생적으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을 경우, 또다시 노벨상이 나올 개연성은 상당히 높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