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박 대통령이 나서 피해 할머니들 껴안고 설득하라

박 대통령이 나서 피해 할머니들 껴안고 설득하라

Posted December. 30, 2015 07:09   

中文

한국과 일본이 그제 타결한 일본군 위안부 협상의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외교부는 어제 임성남 1차관과 조태열 2차관을 위안부 할머니들이 기거하는 서울 마포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쉼터와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에 각각 보내 협상 경위를 설명했지만 거센 항의를 받았다. 일부 할머니들은 우리 정부가 타결을 했다는 말은 당치 않다. 우리가 이런 타결을 하려고 이렇게 싸우지는 않았다라며 서운함을 감추지 않았다.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들도 강하게 반발한다. 이번 타결은 한일관계를 고려해 대승적 차원에서 이뤄졌지만 피해 당사자들이 납득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

미국 영국 독일 등은 즉각 환영했고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일본이 법적 책임을 끝내 인정하지 않은 것을 비판하는 시각도 엄존한다. 이번 타결을 막후에서 종용한 미국의 역할에 주목하는 언론 보도도 있다. 어찌 됐든 이번 한일 정부의 합의가 반인륜적 전쟁범죄에 대한 국제사회의 시각을 완전히 바꾸어놓지는 못할 것이다.

위안부 할머니들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직접 육성으로 사죄하지 않고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죄한 것을 들어 일본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1970년 12월 빌리 브란트 서독총리는 폴란드 바르샤바의 유대인 희생자 추모비 앞에 무릎을 꿇고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에 사죄했다. 아베 총리가 더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면 세계인들에게 주는 메시지가 강렬했을 것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타결 직전까지 갔던 사사에 안에는 일본 총리의 사죄 서한을 주한일본대사가 피해자를 찾아가 전달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앞으로 이 정도의 성의라도 보여줄 것을 기대한다.

합의 내용 중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이라고 한 것과 향후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 이 문제에 대해 상호 비난비판을 자제한다고 한 대목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다. 정부 차원에서 외교적으로 더는 문제 삼지 않는다고 해도 민간 차원에서의 문제 제기를 막을 수는 없다. 위안부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과 국내외에 세워지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도 민간 차원에서 하는 일이다. 그제 공동기자회견에서 윤 장관이 언급한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도 정부가 정대협 등과 협의할 수는 있어도 이를 강제하기는 어렵다.

박 대통령은 11월2일 아베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에서도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가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으로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협상 결과가 거기에 부합한다고 보겠지만 피해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박 대통령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가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고 받아들여다라고 설득하늠 모습을 보여주면 좋을 것이다. 피해자들과 국민이 공감해야 위안부 문제를 매듭짓고 한일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