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한일 수교 50년의 대차대조표

Posted June. 23, 2015 07:23   

中文

포항제철(현 포스코)은 조상의 피로 건설된 것이다. 한국의 철강왕 박태준 전 포철 회장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국내 자본도 없고 해외에서 돈을 빌리기도 어려웠던 1960년대 포철은 대일()청구권 자금의 일부로 세워졌기 때문이다. 산업의 쌀인 철강을 생산함으로써 한국은 비로소 200년 늦게 산업혁명을 시작할 수 있었다. 한국이 영국 미국 일본의 뒤를 이어 제조업 강국이 된 데는 철강산업이 든든한 바탕이 됐다.

어제로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았다. 1965년 맺은 한일협정은 굴욕적 협정이라는 비판이 따랐다. 일본은 3년간 점령했던 필리핀에 전쟁 피해 배상금으로 8억 달러를 지불했다. 반면 35년간이나 식민 지배를 한 한국에는 경제 원조 형식으로 3억 달러의 차관을 포함해 6억 달러를 줬다. 필리핀은 샌프란시코 강화조약에 직접 참여해 한국과는 국제적 지위가 달랐다는 것이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주장이다. 한국은 그 돈을 종잣돈의 일부로 삼아 한강의 기적을 이뤘다. 필리핀 미얀마 등이 배상금을 흐지부지 써버리고 경제도약의 기회를 놓친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 자부심을 가질 만하다.

일본도 한국의 경제성장을 통해 많은 이익을 봤다. 한국이 수출주도 성장을 하는 동안 일본은 부품과 기계를 팔아 막대한 무역흑자를 냈다. 50년 동안 한국이 일본에 본 무역적자만 5164억 달러(약 576조 원)에 달한다. 한국은 경제 규모가 50년 전 30억 달러(국내총생산)에서 1조3000억 달러(2013년)로 400배 가까이 커졌다. 하지만 일본에 비하면 여전히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일본은 고대 이래로 한국에서 배워 가던 나라였지만 한국이 배워 오는 나라로 위치가 바뀐 지 꽤 오래됐다. 아베 신조 총리가 집권한 후 일본은 이웃나라에 대해 과거사 왜곡과 퇴행적 행동을 되풀이하고 있다. 국익을 위해 협력할 것은 해야겠으나 식민지의 아픈 과거를 잊을 수는 없다. 요리조리 사죄 안하고 넘어가려는 일본을 이기는 길은 일본보다 잘사는 것, 일본보다 센 나라가 되는 거다.

신 연 수 논설위원 yssh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