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오피니언]커닝

Posted September. 10, 2002 23:32   

中文

커닝(cunning)은 대표적인 콩글리시다. 그러나 본뜻(교활한)이 커닝의 속성을 잘 나타내고 있으므로 어색한 편은 아니다. 제대로 된 영어는 속이기라는 뜻의 치팅(cheating)이다. 그렇다고 커닝이 외래문화는 아니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에서도 부정행위가 적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베껴 쓰기, 답안지 바꿔치기, 대리시험, 문제 사전 유출 등 그 유형도 요즘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콧구멍 속에 커닝페이퍼를 숨긴 채 과장()에 들어간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당시엔 커닝페이퍼를 협서()나 협책()이라고 했다.

시험의 역사만큼 커닝의 역사도 동양이 서양보다 더 유구한 것 같다. 춘천교육대 심우엽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중국에서 몇 년 전에 발견된 깨알같은 글씨의 작은 책 두 권이 명나라 때의 커닝페이퍼로 밝혀졌다고 한다. 또 조선시대 과장으로 쓰였던 성균관 반수당에서 발견된 새끼줄이 들어 있는 대나무통은 외부에서 작성한 답안지를 과장 안으로 들여보내기 위한 커닝도구로 추정된다고 한다. 지난해 북한에서 발간된 월간 아동문학에는 곁눈질 말아/5점(만점) 답안 내고 나면/웃을지 몰라도/고운 마음 덟어(더러워)지니/곁눈질 말아라는 동요가 실려 있다. 북한 학생들도 커닝의 유혹을 이겨내기 쉽지 않은 모양이다.

커닝은 이미 오래 전부터 일상화된 느낌이다. 최고학부인 대학원도 예외가 아니다. 시험시간 직전 책상 위에 부지런히 뭔가 쓰고 있는 대학원생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오죽하면 책상을 바꿔 시험을 치도록 하기까지 하겠는가. 지난달에는 예비법조인인 사법연수원생이 커닝을 하다 들켜 정직 3개월 처분을 받은 일도 있다. 휴대전화 커닝, 사이버 커닝 등 커닝 수법 또한 갈수록 첨단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만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설문조사 결과 미국의 고교생 중 74%가 커닝을 한 적이 있으나, 대다수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외신보도도 있다.

정몽준() 의원이 대학시절 커닝을 하다 정학당한 것을 시인했다. 전 과목 수강취소라는 중징계를 받은 것을 보면 정 의원이 꽤 중죄를 범했거나 아니면 감독관이 매우 엄했던 듯하다. 단순히 커닝하다 적발되면 해당 과목만 낙제점을 받는 게 통례이기 때문이다. 심우섭 교수는 논문에서 윤리의식이 낮고 자제력이 약한 학생,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한 학생이 부정행위를 많이 한다고 썼다. 당시 정 의원의 경우는 어느 쪽이었을지 궁금하다.

임 채 청 논설위원 ccl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