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는 작은 어른이 아니다.” ―홍창의 ‘소아과학’ 중
소아과학 교과서의 서두를 여는 이 유명한 구절을 개인적으로도 매우 좋아한다. 이는 소아과학의 특징을 한 문장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소아과 의사의 특별한 진료에 대한 자부심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다. 성장, 발달 중인 소아는 어른과 동일한 생리적 기전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또 소아의 체중이나 키를 어른 대비 비율로 계산해서 약물의 용량을 감량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래서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이 작은 숫자에도 민감하고, 보다 꼼꼼히 아이의 상태를 살피는지도 모르겠다.
최근에는 그간 자주 처방하던 소아용 약품이 품절됐다는 소식을 자주 접한다.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예전과 달리 나만의 비법을 담은 약을 처방하기가 어렵다. 나는 아이들의 약을 처방하기 위해 차트에 ‘딸기 맛 좋아함’, ‘가루약 못 먹음’, ‘씹어 먹는 약 잘 먹음’ 같은 메모들을 따로 기록해 놓는다. 성분이 같더라도 아이들의 기호와 성향을 고려하여 약을 처방하면 약을 먹이는 보호자도 수월하고 아이들도 거부감 없이 정확한 용량의 약을 먹고 빨리 좋아질 수 있다. 성분이 같아도 상품명이 다른 약을 처방하면 아이들은 단번에 알아차린다. 복제약의 효능이나 효과가 어떻다느니 하는 거창한 이야기를 하지 않더라도 말이다. 그래서 아이들 약은 제형과 맛이 다양한 경우가 많다.
사실 소아용 약의 안정성은 아이들에게 직접 실험해 볼 수 없기 때문에 성인에게서 안정성이 확보된 약물의 용량을 조절하여 투약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가루약이나 시럽을 0.166g이라든가 0.3㏄ 같은 미세한 용량으로 처방하기도 한다. 소아용 약이 자주 품절되는 상황에선 이런 처방이 늘 수밖에 없다.
요즘 필수 의료나 저출생의 이슈가 얘기될 때마다 항상 소아청소년과의 문제와 대책들이 제안되지만, 실제 진료 현장에서 의사와 환자들에게는 자그마한 약도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그저 진료 보러 오는 아이들에게 다시금 아이가 좋아하던 약을 처방해 주고 싶은 것이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