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December. 29, 2015 08:19,
한국 정부 주도로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이 정부 예산을 출연하는 방안은 청와대가 적극 추진한 아이디어로 확인됐다. 위안부 피해자뿐 아니라 관련 단체도 포용해야 문제 해결에 다가설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움직임이다.
정통한 외교 소식통은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상뿐 아니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관련 단체의 추후 활동 근거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올해 상반기부터 공감대가 만들어진 사안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그동안 피해자가 납득할 수 있는 해법이 돼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에는 46명의 생존 할머니뿐 아니라 관련 단체의 동의도 포함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1991년 위안부 문제가 처음 불거진 이후 20년이 넘도록 정대협 등은 이 문제에 천착하면서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하는 데 앞장서 왔다. 관련 단체들이 참여하는 재단이 설립되면 이들이 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 건강관리 등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말 사사에 안을 바탕으로 한일 간 막후 협의가 진행됐을 당시 위안부 피해자 1인당 300만 엔(약 2900만 원)을 사죄금(속죄금)으로 지급하는 방안이 포함된 적이 있다. 이번 협의에서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지만 일본 정부 예산에서 나오는 10억 엔 가운데 일부는 피해자들에게 전달될 것으로 알려졌다.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