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중, 한반도 묻힌 중국군 유해 첫 발굴-송환 착수

중, 한반도 묻힌 중국군 유해 첫 발굴-송환 착수

Posted September. 21, 2011 08:05,   

ENGLISH

중국 정부가 625전쟁 참전 등으로 타국에 묻혀 있는 중국군(인민해방군) 유해를 중국으로 송환하거나 묘지를 보수하는 등의 해외열사기념시설 보호관리 업무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에 묻힌 중국군 유해는 모두 11만5217구로 추정되며 99%가 한반도에 묻혀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중국 정부가 남북한과 관련 사안을 두고 접촉을 했거나 접촉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사안의 민감성을 고려해 이 업무를 선전하지 않고 조용히 진행 중이다.

그동안 해외참전 전사자의 유해발굴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중국정부가 유해송환에 나서기는 처음이다. 국력이 상승함에 따라 미국 등 서방선진국처럼 자국 군인의 희생을 철저히 기리겠다는 자각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2014년까지 완료?

홍콩 시사 잡지 펑황저우칸()은 최근호에서 중국 정부가 해외에 묻힌 군인 기념시설에 대한 조사를 수개월 전부터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이 업무에는 열사와 유가족지원 전담부서인 민정부 유푸()국과 외교부, 중국 군부가 참여하고 있다. 유푸국 관계자는 중국 건국 65주년이 되는 2014년 전에 해외에 묻힌 열사들의 유해를 송환하거나, 묘지를 보수하는 등의 업무를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정부 홈페이지에는 2011년의 중요 업무 중 하나로 일종의 법률인 열사포양(찬양이란 뜻) 조례를 개정해 해외 열사 기념시설 보호관리 업무를 착수한다고 공개했다.

대상은 1949년 중국 건국 이후에 해외 참전 중 전사해 현지에 묻힌 유해로 대략 11만5217구로 추정된다. 이는 한국전쟁 때 전사해 한반도에 묻힌 11만4000구(추정치) 베트남전쟁 때 비밀리에 월맹을 지원하기 위해 파병된 후 전사한 1117구 기타 그밖에 다른 나라 100구 등이다.

유해 대부분 한반도에 묻혀

북한은 한국전쟁 직후 200여 곳에 중국군 기념비와 묘지를 조성했다. 그러다 1973년 김일성 주석의 지시로 평남 회창군 등 8곳에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묘를 조성해 유해들을 합장 관리하고 있다고 잡지는 전했다.

특히 평양에서 동쪽으로 100km가량 떨어진 회창군 열사묘에는 북중 수교일 등 양국 주요 기념일에 양국 공동 추모행사가 종종 열리고 있다. 이 곳은 마오쩌둥()의 장남인 마오안잉() 등 134명의 중국군 유해가 묻혀 있다. 지난해 10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후계자인 3남 정은을 데리고 이 곳을 참배했다. 하지만 북한 정부는 회창군 묘역을 제외한 다른 중국군 묘역에는 중국인의 개인적 참배를 금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중국군 유해가 종종 발견되고 있다. 국방부 유해발굴단은 한국전쟁 때 격전지에서 국군 전사자 유해를 발굴하는 과정 중에 중국군과 북한군 유해를 발굴해 경기 파주군에 조성된 적군 묘지에 안장하고 있다.

사안 민감성으로 조용히 진행

현재 이 작업은 조용히 진행되고 있다고 잡지는 전했다. 유푸국 관계자는 공산당 중앙이 방침을 정했으며 선전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올해 3월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전국정협 산하 과교문위() 위원회 류장러() 부주임은 한국에서 발굴된 중국군 유해를 송환하자는 특별안건을 제기했다. 류 부주임은 열사 유해가 적국(한국)에서 저런 식으로 보존되는 것은 불공평하다면서 중국 국력 상승에 맞는 이미지 수립을 위해서도 유해를 송환해 열사능원에 안장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중국 인사도 마땅히 해외에 있는 모든 중국군 유해를 본국에 송환해 우리가 직접 모셔야한다고 말했다.



이헌진 mungchi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