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삼청교육 진실 밝힐 자료 찾았다

Posted February. 22, 2006 04:32,   

ENGLISH

그동안 베일에 가려 있던 1980년 삼청교육대 사건과 518민주화운동 등에 대해 상세히 기록한 정부 기록물이 대거 보존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625전쟁과 관련한 전투상보와 작전일지, 각종 사건 기록도 체계적으로 보관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 산하 국가기록원은 지난해 10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 123개 기관의 주요 기록물 보존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주요 국가기록물 다수 보존 확인=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일제강점기, 625전쟁, 516군사정변, 삼청교육대, 518민주화운동 관련 기록은 현대사 연구와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주요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1212쿠데타와 518민주화운동을 진압해 권력을 잡은 신군부가 1980년 사회풍토 문란 사범을 소탕하겠다는 명목으로 자행한 삼청교육대 사건은 그동안 대부분이 비공개로 분류돼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확인된 삼청교육대 관련 기록물은 신군부의 계획 및 결과, 감호생 난동사건, 사진첩 등이 처음 확인됐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총격전 상보, 계엄상황일지, 지휘관 명부, 사망자 명단, 형사사건 기록 등 전반적인 윤곽도 드러났다.

625전쟁의 경우 전투상보를 비롯해 포로 관련철, 부대역사일지 등 국방부의 4500여 권의 기록과 625전쟁 전후에 발생한 제주도43사건, 거창민간인학살사건 등과 관련한 자료도 1700여 건 찾아냈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기록은 국가기록원이 조선총독부 식민통치기록과 강제연행자명부와 관련한 문서, 친일서훈 및 일제사상통제 기록 등 총 9만8000여 건을 수집해 관리하고 있다.

일부 주요 자료는 의도적으로 폐기=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1962년과 1968년, 1975년 총 3회에 걸쳐 누적문서 정리 및 영구보존 문서 소산계획에 따라 대대적인 문서 폐기가 이뤄진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국가기록원은 분야별 주요 정책, 사업, 사건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전면 실시하고 체계적인 수집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확인된 기록물 가운데 공개가 가능한 목록을 22일 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에 올려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비공개 기록물 역시 재분류 작업 등을 거쳐 일부 목록을 공개할 계획이다. 042-481-6275



황태훈 beetlez@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