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국내 1등? 세계 LTE 퍼스트 무버 되겠다

Posted November. 28, 2011 01:15,   

ENGLISH

4세대 이통의 퍼스트 무버 될 것

이 부회장은 올해 12월까지 전국 84개 시와 8개 군에 LTE 망을 구축하면 대한민국 영토의 94%에서 LTE를 쓸 수 있게 된다며 내년 3월까지 커버리지를 100%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LTE는 현재 대부분의 휴대전화 사용자가 쓰고 있는 3세대(3G)보다 속도가 5배 이상 빠르고 더 많은 데이터를 실어 나를 수 있는 차세대 통신망이다. PC로나 할 수 있었던 인기 온라인게임 스타크래프트나 고화질(HD) 화상통화를 휴대전화로 할 수 있다. 국내 1위 통신사인 SK텔레콤은 내년 4월 전국의 95% 지역에서 LTE를 쓸 수 있게 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내년 하반기에는 LTE로 음성통화 서비스도 제공하는 보이스 오버 LTE(VoLTE)를 시작한다. 다른 이동통신사는 데이터는 LTE 망을 쓰지만 음성통화는 3G망으로 제공한다. 이 둘을 한 번에 제공한다는 것은 음성통화를 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검색을 빠른 속도로 즐길 수 있다는 뜻이다. 기술은 나와 있지만 실제로 서비스를 해본 곳이 없어서 미국의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이나 일본의 NTT도코모 등도 도입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기술이다.

LG유플러스가 LTE 분야에서 퍼스트 무버로 자리를 굳히게 되면 최신 휴대전화를 먼저 받아 소비자들에게 공급하는 데도 유리한 위치에 설 것으로 전망된다.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LG유플러스를 LTE 최신 제품의 테스트 베드(시험무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

구글 애플처럼 혁신

이 부회장은 또 내년 1월부터 인터넷TV(IPTV)에 유튜브 전용 채널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7일 구글의 에릭 슈밋 회장과 만나 논의한 협력 방안 중 일부를 이날 공개한 것이다.

현재 유튜브에는 30분 이하의 짧은 영상이나 저화질 영상이 절대 다수다. 구글은 TV에서 볼 수 있는 HD 대용량 동영상을 모아 LG유플러스에 단독 공급할 계획이다. 이 부회장은 통신 사업자라는 한계를 넘어 플랫폼 사업자로 위상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구글이나 애플은 통신망을 제공하지 않으면서도 휴대전화, 클라우드컴퓨팅, 앱(응용 프로그램) 장터 등으로 자체 생태계를 구축했다. 반면에 국내 통신사들은 막대한 돈을 들여 통신망을 깔아 놓고도 통신요금 외에는 별다른 수익모델이 없다. LG유플러스가 구글과 손을 잡은 것은 이런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첫걸음으로 볼 수 있다.

이 부회장은 지금까지 스마트폰을 통해 일반적인 맛집의 정보만 알 수 있었지만 이제는 허름한 분위기에 손님은 적은 옛날 자장면 전문점 중 가장 가까운 곳을 스마트폰이 추천해줄 수 있을 것이라며 이처럼 개인화되고(Personalized) 융합된(Converged) 서비스를 LG유플러스가 제공하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정진욱 cool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