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한국 증권시장에 외국기업 첫 상장

Posted December. 29, 2006 07:20,   

ENGLISH

중국 섬유업체인 화펑()방직이 외국 기업으로는 처음 한국 증시 상장을 추진한다.

상장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중국기업 중심으로 국내 증시 상장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한국증권선물거래소는 28일 홍콩거래소 상장회사인 중국 화펑방직이 상장심사 청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화펑방직이 증권선물거래소의 상장심사와 증권감독 당국의 유가증권신고서 수리 및 공모과정 등 남은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치면 내년 3월경 정식 상장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화펑방직은 1988년 설립된 중국의 섬유 및 직물 생산업체로 올해 매출액 800억 원, 순이익 100억 원(추정)의 중견기업이다. 이 회사는 올해 5월 대우증권과 국내증시 상장을 위한 주관계약을 한 뒤 상장 절차를 밟아왔다.

최대주주는 48.5%의 지분을 보유한 차이전룽() 회장으로 그는 이날 직접 거래소를 방문해 상장심사 청구서를 제출했다.

거래소 측은 미국 뉴욕, 영국 런던 등 외국의 증권 거래소는 수많은 외국기업의 상장으로 글로벌 금융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며 증권시장 국제화를 위한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외국기업 상장유치 활동이 결실을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거래소는 지난해부터 중국 주요도시를 순회하는 상장설명회를 15차례 개최했으며, 베트남에서는 베트남 기업의 한국 상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영탁 거래소 이사장은 현재 외국기업 12개사(중국 11개, 미국 1개)가 국내 증권사와 주관계약을 하고 국내 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기업 외에 베트남,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캄보디아 등의 주요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해당 국가의 금융감독 당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증권업계는 외국기업 국내 상장의 물꼬가 터졌다는 점에선 높이 평가하지만, 국내 진출 1호 기업이 사양산업인 섬유업체라는 점에서 시장의 호응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중국 상하이()시장에 상장된 대기업은 중국 감독당국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해외 기업의 한국 상륙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기대는 시기상조라는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김상수 ss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