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부 민주화의 횃불 > I. 폭압 속에 세운 자유언론의 깃발 > 3. 정치테러의 와중에 page1
 

투쟁은 국제사회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65년 5월 런던에서 열린 IPI 제14차 총회는 동아일보 부사장 겸 주필 고재욱에게 ‘자유언론의 영웅’이라는 칭호를 보냈다.
고재욱은 언론파동 당시 악법철폐투쟁위원회 부위원장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대정부 투쟁을 총지휘하여 승리로 이끈 주역이었다. IPI 런던총회에는 32개 국의 신문발행인과 편집인, 기 타 편집간부 등 320여 명이 참석했는데 이 자리에서 베리 빙햄 IPI 이사장이 고재욱을 단상 으로 불러 최고의 찬사와 함께 세계 언론인들에게 소개했다.
“나는 지난 수년간 한국의 언론이 갖가지 도전에 직면하여 이상과 사명감, 독립성을 성공적으로 지켜냈다고 자부한다….”
고재욱이 연설하는 6분 동안 여러 차례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져나왔다. 고재욱의 연설 한 대목.
…한국신문은 자유와 책임을 똑같이 강조해왔으며 자신의 전문적 윤리규약을 실천할 기구를 창설했다.
그러나 작년 한국정부는 이런 태도가 적절치 못하다고 간주하며 언론윤리위원회법을 국회에서 통과시키고 이를 실행하려고 했다. 한국의 신문은 이 조치를 반대했으며 우리는 투쟁과정에 IPI와 많은 동료국가들로부터 정신 적 지지를 받았다. 그 결과 정부는 언론윤리위원회법 시행을 보류했고 지금은 사실상 폐기 된 상태다. 한국 신문인들은 우리 자신이 윤리법규의 수호자로서 자유롭고 책임있는 신문의 역할을 다한다는 이상과 신념을 지켜냈고 이를 위해 발행인협회 편집인협회 기자협회 등 각 단체가 함께 뭉쳤다는 것을 자부한다.…

3. 정치테러의 와중에

언론파동에서 한 발 물러선 박정희 정권은 이듬해인

 

65년 7월2일 ‘비밀보호와 보안조사에 관한 법률안’을 만들었다. 법안대로라면 국가기밀 보호라는 명분 아래 정부의 공식발표문 외에는 거의 보도할 수 없을 정도로 언론은 통제를 받게 된다.
문제 법안이 7월 임시국회에 상정될 예정임이 알려지자 전 언론계가 다시 반대운동에 나섰 다. 편집인협회 기자협회 등이 정부와 전면 투쟁하겠다고 선언했고 야당과 대한변호사협회 도 호응했다. 상황이 심각함을 눈치챈 박대통령이 전면 재검토를 지시하는 바람에 입법은 일단 좌절했지만 그것은 단지 시작일 뿐이었다.
이 해 10월 정부는 다시 ‘신문 통신 등 등록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극비리에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기존 등록취소 요건에 국헌을 문란케 하거나 국위를 손상하는 경우, 공서양속 을 해치는 경우, 기밀을 누설하여 국가이익을 손상하는 경우, 정당한 사유없이 등록 후 2개 월 이내에 발행하지 않는 경우 등을 추가한 것으로 정기간행물의 등록취소요건 범위를 넓혀 사실상 언론을 규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 법안 역시 언론계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혀 흐 지부지되고 말았지만 언론을 손아귀에 쥐려는 정권의 시도는 집요했다.
박정희의 언론관은 어떠했는가. 한일협정비준 반대시위가 한창이던 65년 5월2일의 한 연설 내용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정치인과 언론인들은 항거만 하는 사고방식과 자세를 버려야 한다.” “우리나라 인텔리들은 정부가 하는 일은 무조건 반대해야 지식인이라는 사고방식을 뜯어 고쳐야 한다.”
“무책임한 언론기관에서 무책임한 소리를 하는데 국민들은 부화뇌동하지 말라.”
그는 격앙된 어조로 언론에 대한 불만을 쏟아놓았다. 동아일보와 동아일보 기자에 대한 잇따른 테러도

 


Copyright 2000 동아닷컴. E-mail : newsroo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