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contents

청와대 조롱한 원전 해커에 국가안보실은 손놓고 있나

청와대 조롱한 원전 해커에 국가안보실은 손놓고 있나

Posted March. 14, 2015 07:17   

中文

작년 연말 해킹한 원자력발전소 도면을 5차례나 인터넷에 올리며 가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크리스마스 때 원전을 파괴하겠다고 협박했던 해커가 다시 출현했다. 이번에는 박근혜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통화 내용 파일을 해킹했다고 주장했다. 원전의 도면과 실험용 시뮬레이션이 담긴 동영상 파일도 다시 공개하며 돈을 요구했다. 청와대는 당시 보도 자료를 통해 이미 발표한 내용들이라면서도 내용의 진위와 해킹 여부에 대한 확인을 거부하고 있다.

국내 대표적 사이버보안 전문가로 1월 임명된 임종인 청와대 안보특보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 사건에 대한 관심을 돌리기 위한 북한의 소행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북한을 직접 지목했다. 북의 해커가 청와대까지 해킹한 것이 사실이라면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도 산업통상자원부는 어제 작년 말 이후 추가 해킹을 당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고 원전의 안전에 위협이 될 만한 징후도 아직은 없다며 해킹이라기보다 사이버 심리전이라고 규정했다. 안보특보의 진단과 달라 국민은 누구 말이 맞는지 믿을 수가 없다. 그러니 정부가 원전의 안전 운영에 문제가 없다고 해도 불안을 떨치기 어려운 것이다.

작년 12월 원전 해킹이 드러난 이후 3개월이 지났지만 합동수사단은 아직 이렇다할 수사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 정부는 정보보안 전담 인력과 예산을 늘리고 정보 관리를 세분화하는 에너지 공기업 사이버 보안 대책을 마련했으면서도 청와대 녹취록까지 거론하는 범인의 조롱에 속수무책이다.

미국은 지난해 11월 영화사 소니 픽처스가 해킹을 당하자 곧바로 수사에 나서 북한을 배후로 지목했다. 사건이 일어난 지 두 달 만에 북한 정찰총국 등에 금융 제재를 가하고 북한 인터넷을 다운시키는 보복 조치도 했다. 한국은 일개 민간 기업이 해킹을 당한 수준이 아니라 국가 기간 시설인 원전과 청와대가 협박을 받고 있는데도 수사에 진전이 없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합동수사단은 빠른 시일 안에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해커 수사 결과를 내놓고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